IgA 신병증과 비박형 기저막 신증의 임상 및 병리학적 비교 분석 - 사구체 기저막의 비박화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features of IgA Nephropathy and Thin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Disease

  • 지근하 (인제의대 부산백병원 소아과학 교실) ;
  • 하창우 (인제의대 부산백병원 소아과학 교실) ;
  • 김영주 (인제의대 부산백병원 병리학 교실) ;
  • 윤혜경 (인제의대 부산백병원 병리학 교실) ;
  • 정우영 (인제의대 부산백병원 소아과학 교실)
  • Chi, Geun-Ha (Department of Pediatrics,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 Paik Hospital) ;
  • Ha, Chang-Woo (Department of Pediatrics,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 Paik Hospital) ;
  • Kim, Young-Ju (Department of Patholog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 Paik Hospital) ;
  • Yoon, Hye-Kyung (Department of Patholog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 Paik Hospital) ;
  • Chung, Woo-Yeong (Department of Pediatrics,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 Paik Hospital)
  • 발행 : 2001.10.01

초록

목 적 : IgA 신병증(IgA nephropathy)과 비박형 기저막 신증(thin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disease)은 소아 연령에서 무증상성 혈뇨를 초래하는 대표적인 사구체 질환이다. IgA 신병증은 면역 형광 현미경 검사에서 메산지움 부위에 IgA가 단독 혹은 현저하게 침착을 보이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 전자 고밀도 물질의 침착과 함께 사구체 기저막의 비박화도 흔히 동반되어 있음이 보고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 IgA 신병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사구체 기저막 비박화의 빈도를 조사하였고, 비박화의 정도에 따라 임상 양상에 차이점이 있는지를 관찰하였으며, 나아가서 비박형 기저막 신증 환자들과 임상 및 병리학적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부터 2000년까지 인제의대 부산 백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신장 조직검사를 시행한 후 IgA 신병증으로 확진된 51례와 1990년부터 2000년까지 10년 동안 비박형 기저막 신증으로 확진된 26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IgA 신병증의 경우에는 전례에서 사구체 기저막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대상환자들에 대해서는 병력 청취, 이학적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일반 혈액검사, 요검사, 신기능 검사, 24시간 채집된 소변에서의 creatinine 청소율과 총 단백량을 측정하였다. 환자들의 임상 경과에 대한 분석은 후향적으로 실시하였다. 결 과 : IgA 신변증의 경우는 남자가 29례, 여자가 22례로 남자에서 더 많았으나, 비박형 기저막 신증의 경우는 남자 8례, 여자 18례로 여자에서 더 많았다. 입원당시 IgA 신병증에서 단백뇨, 단백뇨와 혈뇨의 동시 출현, 24시간 채집뇨에서 측정한 총 단백량, 24시간 채집뇨에서 측정한 총 단백량이 1gm 이상인 경우 등이 비박형 기저막 신증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1). 그러나 혈청 알부민, 크레아티닌, BUN, 크레아티닌 청소율은 양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IgA 신병증 환자의 전체 사구체 기저막 두께의 평균은 $293.0{\pm}79.2\;nm$ (139.7-461.9 nm)이었으며, 비박형 기저막 신증의 전체적인 사구체 기저막 두께의 평균은 $180.9{\pm}35.8\;nm$(110.5-229.5 nm)로 비박형 기저막 신증에서 기저막 두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얇았다(P=0.0001). 사구체 기저막의 두께가 250 nm 이하인 비율은 IgA 신변증에서 평균 $37.4{\pm}34.4\%$이었으며, 비박형 기저막 신증에서는 $93.0{\pm}7.0\%$이었다(P=0.0001). IgA 신병증 환자에서 사구체 기저막의 두께에 따른 임상적 양상에는 별다른 차이점이 없었다. 결 론 : IgA 신병증의 경우에도 사구체 기저막의 비박화는 비교적 흔히 관찰되었다. 그리고 비박화의 정도에 따른 임상적 양상에는 별다른 차이점이 없었다. 그러나 비박형 기저막 신증에 비해서 단백뇨, 단백뇨와 혈뇨의 동시 출현, 24시간 채집뇨에서 측정한 총 단백량, 24시간 채집뇨에서 측정한 총 단백량이 1 gm 이상인 경우 등이 높았는데 이런 차이점들은 예후적인 측면과 관련이 있는 요인들이라고 생각한다.

Purpose : IgA nephropathy(IgAN) and thin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disease(TGBMD) are common glomerular diseases that cause hematuria in childhood. IgAN has characteristics of IgA deposit as the sole or predominantly localized to the mesangium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thinning of glomerular basement membrane(GBM) is commonly accompanied with precipitation of electron dense deposits in IgAN. We performed this study to examine the frequency of thinning of GBM among children with IgAN and to analysis tile correlation between urinary abnormalities and GBM thickness and furthermore to conduct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features of IgAN and TGBMD. Methods : This study summarizes data collected from Department of Pediatrics, Busan Paik Hospital, Inje Medical College. Data include 51 cases who were diagnosed as IgAN from 1995 to 2000, and 26 cases who were diagnosed as TGBMD from 1990 to 2000 by percutaneous renal biopsy. Results : Males accounted for 29/51($56.9\%$) patients with IgAN and 8/26($30.8\%$) of those with TGBMD. The clinical and laboratory features between IgAN and TGBM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regarding the incidence of proteinuria(IgAN vs TGBMD: $43.1\%\;vs\;3.8\%$, p=0.001), the incidence of co-appearance of proteinuria with hematuria ($41.2\%\;vs\;3.8\%$, p=0.001), total amount of protein in 24 hours collected urine ($808{\pm}\;mg\;vs\;251{\pm}200.7\;mg$, p=0.001) and the incidence of proteinuria more than 1 gm in 24 hours collected urine ($23.5\%\;vs\;3.8\%$, p=0.01). On the contrar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serum albumin, creatinine, BUN, and Ccr between two groups. The mean thickness of GBM in patients with IgAN was $293.0{\pm}79.2\;nm$(139.7-461.9 nm) and $180.9{\pm}35.8\;nm$(110.5-229.5 nm) in patients with TGBMD. The mean GBM thickness revealed significantly thinner in TGBMD compared than those with IgAN (P=0.0001). The frequency of thickness being less than 250 nm was $37.4{\pm}34.4\%$ in IgAN and $93.0{\pm}7.0\%$ in TGBMD (P=0.0001). But there were no correlations between urinary abnormalities and GBM thickness in patients with IgAN. Conclusion : The thinning of GBM would be one of the common pathological findings in IgAN Moreover, there is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urinary abnormalities and GBM thickness in patients with IgAN, However, patients with IgAN tend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possibilities of proteinuria, co-appearance of proteinuria with hematuria and higher total amount of protein in 24 hours collected urine compared those with TGBMD. These differences might be play all important role as progressive prognostic indicators in patients with IgAN.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1;5 : 136-46)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