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ldhood Kidney Diseases
- Volume 5 Issue 2
- /
- Pages.109-116
- /
- 2001
- /
- 2384-0242(pISSN)
- /
- 2384-0250(eISSN)
The Effect of levamisole in Steroid-Dependent Nephrotic Syndrome in Children
소아 스테로이드 의존형 신증후군에서 Levamisole의 치료 효과
- Han Jae-Hyuk (Department of Pediatrics, Th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Kyoung-Jae (Department of Pediatrics, Th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Young-Mock (Department of Pediatrics, Th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Il-Hong (Department of Pediatrics, Th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Pyung-Kil (Department of Pediatrics, Th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한재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신장질환연구소) ;
- 이경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신장질환연구소) ;
- 이영목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신장질환연구소) ;
- 김지홍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신장질환연구소) ;
- 김병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신장질환연구소)
- Published : 2001.10.01
Abstract
Purpose Long- term use of steroid, cyclophosphamide and cyclosporin,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the therapy of SDNS, might cause severe side effects. Recently, the immune-modulator levamisole has been tried as a substitute therapy and it has been reported as a method with less side effects and more effectiveness. We started this research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s of levamisole and compare it to other therapy results. Patients and Methods : We chose 16 steroid dependent nephrotic syndrome children, those who had shown frequent relapse during the immunocompromised therapy period. Mean age was
목 적 : 소아의 스테로이드 의존형 및 빈번 재발형 신증후군에 사용되는 스테로이드 장기투여, cyclophosphamide, cyclosporin등은 성장 장애나 생식선 장애, 신독성등 여러 가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최근 시도되고 있는 면역 조절제인 levamisole을 스테로이드 의존형 신증후군 환아에게 투여하여 이의 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하고, 또한 기존의 제제를 사용한 치료 효과와 비교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상환아는 1990년부터 2000년까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서 cyclophosphamide, cyclosporin등의 면역 억제 치료를 받고도 만족할 만한 관해가 유지되지 못하고 자주 재발하는 스테로이드 의존형 신증후군 환아 16례로 하였다. 치료시작 당시 연령분포는 3.7세에서 13.2세까지 평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