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 To find out the role of postoperative adjuvant radiotherapy in the treatment of rectal cancer by comparing survival, pelvic control, complication rate, and any prognostic factor between surgery alone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group. Materials and methods : From Feb. 1982 to Dec. 1996 total 212 patients were treated by radical surgery with or without postoperative radiotherapy due to rectal carcinoma of modified Astler-Coiler stage $B2\~C3$. Of them, 18 patients had incomplete radiotherapy and so the remaining 194 patients were the database analyzed in this study. One hundred four patients received postoperative radiotherapy and the other 90 patients had surgery only. Radiotherapy was peformed in the range of $39.6\~55.8\;Gy$ (mean: 49.9 Gy) to the whole pelvis and if necessary, tumor bed was boosted by $5.4\~10\;Gy$. Both survival and pelvic control rates were calculated by Kaplan-Meier method and their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by Log-rank test. Multivariate analysis was peformed by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Results : 5-year actuarial survival rate (5YSR) and 5-year disease-free survival rate (5YDFSR) of entire patients were $53\%\;and\;49\%$, respectively. 5YSRs of surgery alone group and adjuvant radiotherapy group were $63\%\;vs\;45\%$, respectively (p=0.03). This difference is thought to reflect uneven distribution of stages between two treatment groups (p<0.05 by $\chi^2-test$) with more advanced disease patients in adjuvant radiotherapy group. 5YSRs of surgery alone vs adjuvant radiotherapy group in MAC B2+3, C1, C2+3 were $68\%\;vs\;55\%$ (p=0.09), $100\%\;vs\;100\%$, $40\%\;vs\;33\%$ (p=0.71), respectively. 5YDFSRs of surgery alone vs adjuvant radiotherapy group in above three stages were $65\%\;vs\;49\%$ (p=0.14), $100\%\;vs\;100\%$, $33\%\;vs\;31\%$ (p=0.46), respectively. 5-year pelvic control rate (5YPCR) of entire patients was $72.5\%$. 5YPCRs of surgery alone and adjuvant radiotherapy group were $71\%\;vs\;74\%$, respectively (p=0.41). 5YPCRs of surgery alone vs adjuvant radiotherapy group in B2+3, C1, C2+3 were $79\%\;vs\;75\%$ (p=0.88), $100\%\;vs\;100\%$, $44\%\;vs\;68\%$ (p=0.01), respectively.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only stage was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overall and disease-free survival in entire patients and also in both treatment groups. In view of pelvic control, stage and operation type were significant in entire patients and only stage in surgery alone group but in adjuvant radiotherapy group, operation type instead of stage w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in multivariate analysis as a negative prognostic factor in abdominoperineal resection cases. Conclusion : Our retrospective study showed that postoperative adjuvant radiotherapy could improve the pelvic control in MAC C2+3 group. To improve both pelvic control and survival in all patients with MAC B2 or more, other treatment modality such as concurrent continuous infusion of 5-FU, which is the most standard agent, with radiotherapy should be considered.
목적 : 직장암에 대한 수술 단독 또는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골반종양제어율과 생존율, 합병증 발생률, 예후인자 등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방사선치료의 역할을 평가한다. 대상 및 방법 : 1982년 2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총 212명의 환자가 modified Astler-Coiler 병기 $B2\~C3$ 직장암으로 진단되어 근치적목적의 수술단독 또는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는데, 이중 39.6 Gy 미만의 방사선치료를 받은 18명을 제외한 19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04명은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90명은 수술 단독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일일 조사량 $1.8\~2.0\;Gy$로 주 5회씩 전골반강에 $39.6\~55.8\;Gy$ (평균:49.9 Gy)를 조사하였고 필요시 원발 종양 절제부위에 $5.4\~10\;Gy$를 추가 조사하였다. 생존율과 골반종양제어율의 산출은 Kaplan-Meier방법으로, 이들의 통계적 유의성검증은 Log-rank test로 하였다. 다요인 분석은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을 이용하였다. 결과 :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 및 무병 생존율은 각각 $53\%,\;49\%$이었다. 수술단독군과 방사선치료 추가군의 5년 생존율은 각각 $63\%$와 $45\%$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방사선치료 추가군에서 진행된 병기의 환자가 더 많이 분포함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었다(p<0.05 by $\chi^2-test$). 수술단독군과 방사선치료 추가군의 5년생존율은 병기 B2+3, C1, C2+3 군에서 각각 $68\%$ 대 $55\%$ (p=0.09), $100\%$ 대 $100\%,\;40\%$ 대 $33\%$ (p=0.71)로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위의 병기별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65\%$ 대 $49\%$ (p=0.14), $100\%$ 대 $100\%,\;33\%$ 대 $31\%$ (p=0.46)로 역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전체 환자의 5년 골반종양제어율은 $72.5\%$이었다. 수술단독군과 방사선치료 추가군의 골반종양제어율은 각각 $71\%,\;74\%$이었다(p=0.41). 병기 B2+3, C1, C2+3군에서 수술달독군과 방사선치료 추가군의 골반종양제어율은 각각 $79\%$ 대 $75\%$ (p=0.88), $100\%$ 대 $100\%,\;44\%$ 대 $68\%$ (p=0.01)이었다. 전체 환자를 대상으로 다요인 분석을 시행한 결과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에 병기만이 유의하였고 두 치료 군에서도 역시 병기가 유의한 인자로 나타났다. 전체환자에서 골반종양제어율에 유의한 예후인자로 다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병기와 수술방법이 유의하였다. 수술단독군에서는 병기만이 유의하였고 방사선치료 추가군에서는 수술방법만이 유의하여 복부회음절제술군의 골반종양재발률이 높았다. 결론 : 본 후향적 연구에서 수술 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여 수술단독군에 비해 병기 C2+3군에서 골반종양제어율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병기 B2이상의 모든 환자에서 골반종양제어율 뿐만 아니라 생존율의 향상을 가져오기 위해서는 최근 효용성이 널리 입증된 연속주사법의 5-FU를 포함한 동시적 항함화학방사선 병용요법이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