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Aging on Pulmonary Function Tests in Elderly Korean Population

한국에서 노화에 따른 폐기능지표의 변화양상

  • Lee, Jae-My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Kim, Eun-J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Kang, Min-J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Son, Jee-Wo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Lee, Seung-J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Kim, Dong-G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Park, Myung-Ja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Lee, Myung-G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Hyun, In-G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 Jung, Ki-Suc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 이재명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은정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강민종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손지웅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승준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동규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명재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명구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현인규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기석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2000.12.30

Abstract

Background :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pulmonary function differs widely among race, age and geographical residency. By virtue of the improvement of nutrition and environment, th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is markedly increasing and so are the ages of patients complaining respiratory symptoms. However, we do not have our own data on the pulmonary functional reserve of elderly persons in Korea. We evaluate the deterioration of pulmonary functional reserve and standardize the predictive values of pulmonary function in the elderly population. Method : Pulmonary function tests were conducted in 100 men and 100 women over the age of 65. We analyzed changes of FVC and $FEV_1$ according to age and height by linear regression. We compared our new multiple linear regression equation with other equations currently used in Korea. Results : In men, the mean age was $71.5{\pm}5.2$(mean${\pm}$SD) years and the mean height was $163.6{\pm}6.2$cm. The mean FVC was $3.42{\pm}0.49{\ell}$ and the mean $FEV_1, $2.72{\pm}v$. In women, the mean age was $72.0{\pm}5.1$ years and the mean height was $149.1{\pm}5.9$cm. The mean FVC was $2.22{\pm}0.42{\ell}$ and the mean $FEV_1$ $1.83{\pm}0.34{\ell}$. Multiple linear regression equation using age and height as an independent factors was as follows : FVC(${\ell}$)=1.857-0.0356$\times$age(year)+0.02517$\times$height(cm) (p<0.01, $R^2$=0.279), $FEV_1(${\ell}$)=1.340-0.02698$\times$age(year)+0.02021$\times$height(cm) (p<0.01, $R^2$=0.255) in men, FVC(${\ell}$) =-0.09765-0.03332$\times$age(year)+0.03164$\times$height(cm) (p<0.01, $R^2$=0.435), $FEV_1(${\ell}$)=-0.l69-0.02469$\times$age(year)+0.02539$\times$height(cm) (p<0.01, $R^2$=0.41) in women. Conclusion : We established prediction regressions for pulmonary functional tests in the elderly Korean population. We also confirmed that currently adopted equations do not exactly anticipate the expected pulmonary functional reserve in the aged person over 65 years old. We suggest that our new equations from this study should be applied to interpret the pulmonary function tests in th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연구배경 : 폐기능 검사는 민족과 인종 그리고 거주지역뿐만 아니라 연령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검사실에서 검사기기에 내장된 평균적 표준치를 기준으로 삼고 있는 실정이어서 노령인구에 대한 폐기능검사 표준을 조사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건강한 노인을 대상으로 폐기능검사를 시행하여 연령증가에 따른 폐기능의 변화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표준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 65세 이상의 남녀 각 100명을 대상으로 폐기능검사를 시행하였다. 측정된 FVC, $FEV_1을 Windows용 SPSS 8.0 version을 이용하여 연령 및 사용하여 다중회기분석을 시행하였다. 노인들의 연령과 키를 현재까지 많이 쓰이고 있는 다중선형회기식으로 분석하여 저자들의 다중선형회기식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 200예 중 남자노인의 평균연령은 $71.5{\pm}5.1$세였고, 평균신장은 $163.5{\pm}6.20$cm 였다. 이들의 평균 FVC는 $3.42{\pm}0.48{\ell}$, 평균 $FEV_1$$2.71{\pm}0.39{\ell}$였다. 여자노인의 평균연령은 $72.0{\pm}5.1$세였고, 평균 신장은 $149.1{\pm}5.93$cm 였다. 이들의 평균 FVC는 $2.22{\pm}0.42{\ell}$ 였고, 평균 $FEV_1$$1.83{\pm}0.33{\ell}$였다. 단변수 분석에서 선형적 연관성을 보인 연령과 신장을 독립변수로 한 다중회귀식을 계산하였고 이를 기존의 다종선형회기식과 비교한 결과 $FEV_1$은 Morris등의 다중선형회기식에 의한 예측치가 실측치보다 낮게 예측되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결론 : 65세 이상의 정상노인에서 폐기능 검사를 시행한 결과 연령의 증가에 따라 폐기능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들의 폐기능 실측치를 다종선형회귀식을 도출하여 기존에 보고된 식들과 비교한 결과 기존의 다중선형회귀식이 한국노인의 표준을 대변할 수 없음을 증명하였다. 저자들의 다중선형회귀식은 노인 연령균에서 오차가 적어 한국노인의 폐기능을 예측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