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timal Time to Localize Bleeding Focus and the Usefulness of Flexible Bronchoscopy in Hemoptysis

객혈에서 굴곡성 기관지경의 출혈부위 결정을 위한 적절한 시행시기 및 그 유용성

  • Lee, Jae-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Municipal Boramae Hospital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oh, Won-Jo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Municipal Boramae Hospital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Chan-J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Municipal Boramae Hospital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ung, Hee-S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Municipal Boramae Hospital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이재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서울특별시립 보라매병원 내과) ;
  • 고원중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서울특별시립 보라매병원 내과) ;
  • 이찬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서울특별시립 보라매병원 내과) ;
  • 정희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서울특별시립 보라매병원 내과)
  • Published : 2000.09.30

Abstract

Background : Bronchoscopy is a useful diagnostic tool, for accurate localization of the bleeding site and the management of hemoptysis. However, there is some controversy about the optimal timing of bronchoscopy. Method : To determine the optimal timing of bronchoscopy in hemoptysi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18 patients and analyzed the following relationships amongst simple chest PA findings, namely, the duration and amount of hemoptysis, and the timing of bronchoscopy retrospectively. Results : The major causes of hemoptysis were active tuberculosis(28.8%), inactive tuberculosis(10.2%), bronchiectasis(17.0%), lung cancer(7.6%), and aspergilloma(7.6%). Localization of the bleeding focus by bronchoscopy was possible in 87.5% (21/24 cases) during active bleeding, and it was possible in 40.4% after bleeding had stopped(p<0.05). The localization rate of bleeding focus was 59.8% when the chest PA showed certain abnormalities, but it decreased to 27.8% when the chest PA finding was normal(p<0.05). When chest PA showed diffuse abnormalities or its finding was normal, the localization rate of bleeding focus significantly increased if bronchoscopy was performed during bleeding or within 48 hours of the cessation of active bleeding. The localization rate was higher as the amount of hemoptysis became larger(p<0.05). The localization rate of early bronchoscopy(during bleeding or within 48 hours of the cessation of active bleeding)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duration of hemoptysis was less than 1 week, but there was no advantage if the duration was 1 week or longer. Early bronchoscopy was also necessary to localize the bleeding focus for surgical resection in 4 patients, and the bronchoscopy itself was therapeutic in 1 patient whose bleeding was successfully managed with thrombin-application via bronchoscope. Conclusion : It is concluded that flexible bronchoscopy is useful at not only localizing the bleeding focus but also in preparing a therapeutic plan, and early bronchoscopy is more favorable in hemoptysis.

연구배경 : 객혈은 임상에서 흔한 증상의 하나인데, 기관지경검사는 객혈에서 진단이나 출혈부위와 확인, 그리고 치료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기관지경검사의 적절한 시행시기 및 적응증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방법 : 객혈에서 기관지경검사의 적절한 시행시기를 결정하기 위해서, 객혈환자 118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단순 흉부 X-선 소견, 출혈 양 및 출혈 지속기간과 기관지경검사의 시행시기와의 관계를 알아 보았다. 결과 : 1. 객혈의 원인은 활동성 폐결핵(34명, 28.8%), 비활동성 폐결핵(12명, 10.2%), 기관지확장증(20명, 17.0%), 폐암(9명, 7.6%), 폐국균종(9명, 7.6%), 그리고 기타가 10명(8.5%)이었고, 원인을 알수 없었던 경우가 24명(20.3%)이었다. 2. 출혈병소의 발견율은 기관지경검사를 일찍 시행 할수록 증가하였는데(p<0.05) 기관지경검사를 출혈 도중에 시행한 경우에는 24명의 환자중 21명(87.5%), 지혈된 후 24시간 이내에는 12명중 5명(41.7%), 그 후에 시행한 경우는 82명중 33명(40.2%)에서 출혈병소가 확인되었다. 3. 출혈병소의 발견율은 흉부사진 상 국소적이든 비국소적이든 병변이 보였던 경우에 더 높았다(p<0.05). 단순 흉부 X-선 소견에 관계없이 모든 경우에서 출혈 도중에 기관지경검사를 시행하면 출혈병소의 발견율은 증가하였다(p<0.05). 단순 흉부 X-선상 정상이거나 비국소적인 병변을 보이는 경우에는 출혈 도중이나 지혈 후 48시간 이내에 기관지경검사(조기 기관지경검사)를 시행했을 때 진단율은 증가하였다(p<0.05). 4. 기관지경에 의한 출혈병소의 발견율은 출혈 양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p<0.05). 비슷한 정도의 출혈 양을 보이는 경우에 기관지경검사를 조기에 시행하면 진단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는 않았다(p>0.05). 5. 출혈병소의 발견율은 객혈의 지속기간과는 관계가 없었다(p<0.05). 그러나 객혈의 지속기간이 1주 미만이었던 경우 출혈 도중에 기관지경검사를 했을 때 증가하였다(p<0.05). 객혈의 지속기간이 1주 혹은 그 이상이면 기관지경검사의 시행시기에 따른 발견율의 차이가 없었다(p>0.05). 6. 조기 기관지경검사로 4명의 환자에서 정확한 출혈부위를 확인하여 폐절제술의 수술 부위를 결정하였으며, 1명에서는 기관지경을 통한 트롬빈 주입으로 객혈이 성공적으로 지혈되었다. 결론 : 객혈에서 굴곡성 기관지경검사는 출혈부위를 확인하는데 유용할 뿐만 아니라 치료방침을 결정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며, 기관지경검사는 출현도중이나 지혈 후 48시간 이내에 조기에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