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lated Leukopenia During Antituberculosis Treatment

1차 항결핵약제 치료 중 발생한 백혈구감소증의 추이

  • Song, Heon-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Lim, Chae-M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Lee, Sang-D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Go, Youn-Suc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Kim, Woo-S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Kim, Dong-S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Kim, Won-D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Shim, Tae-S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송헌호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임채만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이상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고윤석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김우성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김동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김원동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심태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Published : 2000.04.30

Abstract

Background : Isolated leukopenia is rare, but it has important clinical implications during antituberculosis treatment. Inadvertent discontinuation of short-course regimen drugs for fear of leukopenia inevitably will extend the duration of treatment, and the completion of treatment will be delayed. However no guidelines concerning proper management for leukopenia during antituberculosis treatment have been presented.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continuing the same short-course regimen if a mild-to-moderate degree of isolated leukopenia was to develop during antituberculosis treatment. Method : Thirty-six patients who had been prescribed a short-course antituberculosis regimen between January 1997 and August 1999, had newly developed, mild-to-moderate degree, isolated leukopenia during medication, and had continued the same drug regimen despite leukopenia were enrolled. One patient was not available for the follow-up, so the remaining thirty-five (twenty-five prospectively and ten retrospectively) patients were analyzed. Patients who had other known causes of leukopenia were excluded. A mild-to-moderate degree of isolated leukopenia was arbitrarily defined as having a peripheral blood leukocyte count between 2,000 and $3,499/mm^3$ and no evidence of coexisting hematologic abnormalities. Results : 1) All thirty-five patients were able to complete short-course anti-tuberculosis treatment without complication or further decrease of leukocytes count to less than $2,000/mm^3$ despite continuous treatment with the same regimen. 2) The mean duration from start of antitituberculosis medication to detection of leukopenia was $64{\pm}65$ days. 3) The mean leukocyte count was $5,035{\pm}1,583/mm^3$ before treatment, and the its lowest count was $2,908{\pm}390/mm^3$ during treatment. Leukopenia recovered after completion of treatment ($4,283{\pm}1,269/mm^3$). 4) The main component of leukopenia was the decrease in neutrophil count ($3,361{\pm}1,732$ vs. $1,512{\pm}423/mm^3$, p<0.05). Conclusion : For mild-to-moderate degree of isolated leukopenia ($2,000/mm^3{\leq}$ WBC < $3,500/mm^3$), developing during short-course antituberculosis treatment, the short-course antituberculosis regimen may be continued without complications.

연구배경 : 결핵치료중 단독 백혈구감소증은 비교척 드물게 발생하지만 치료면에서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불필요하게 약제를 변경하면 치료기간이 길어지고, 이로 인하여 치료에 대한 순응도가 낮아지고 완치율이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항결핵요법 중에 발생하는 백혈구감소증에 대한 적절한 치료지침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결핵치료 중 발생한 경 중등중 백혈구감소증의 추이를 관찰하고, 같은 약제를 계속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 법 : 1997년 1월부터 1999년 8월사이에 단기 항결핵요법을 시행한 환자중에서 치료중 경 중둥증의 단독 백혈구감소증이 발생하였으나 지속적으로 같은 약제를 투여한 36명의 환자중, 추적검사에서 탈락된 1명을 제외한 35명(25명은 전향적, 10명은 후향적 방법)을 대상으로 하였다. 백혈구감소증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조건이 있는 환자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경 중동증의 단독 백혈구감소증'은 백혈구 수가 $2,000-3,499/mm^3$ 사이이고, 다른 혈액학적 이상이 없는 경우로 임의로 정의하였다. 전향적 연구는 치료 중 경 중등증의 백혈구감소증이 발생하였을 때 같은 약제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면서 CBC를 3-7일 간격으로 검사하였고, 빽혈구수가 $2,000/mm^3$ 미만으로 감소하거나 감염성 합병증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약제를 변경하기로 하였다. 결 과 : 1) 35명 모두 같은 약제로 지속적으로 치료하면서 백혈구수가 $2,000/mm^3$미만으로 감소하거나 다른 합병증없이 치료를 종료하였다. 2) 치료 시작부터 백혈구 감소증이 처음 발견될 시점까지 기간은 평균 $64{\pm}65$일이었다. 3) 치료 전 평균 백혈구수는 $5,021{\pm}1,605/mm^3$, 최저치는 $2,911{\pm}395/mm^3$ 이었으며 치료종료 후 회복되었다($4,248{\pm}1,270/mm^3$, p<0.05). 4) 백혈구감소의 주된 원인은 중성구의 감소이었다($3,319{\pm}1,747$ vs. $1,485{\pm}396/mm^3$, p<0.05). 결 론 : 1차약제 단기 항결핵치료 중 경 중둥증($2,000-3,499/mm^3$)의 단독 백혈구감소증이 발생하였을 때, 치료약제 변경없이 백혈구수를 추적검사하면서 지속적으로 같은 약제를 사용하여도 무사히 치료를 종료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