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OBTURATION TIMING AND THICKNESS OF MINERAL TRIOXIDE AGGREGATE ON SEALING ABILITY OF CANAL WITH OPEN APEX

근관충전 시기와 MINERAL TRIOXIDE AGGREGATE의 APICAL MATRIX두께에 따른 치근단 밀폐도의 평가

  • Kwak, Kyung-In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epartment of Conservative Dentistry The Institute of Oral Health Science, Samsung Medical Center) ;
  • Park, Dong-Sung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epartment of Conservative Dentistry The Institute of Oral Health Science, Samsung Medical Center) ;
  • Yoo, Hyeon-Mee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epartment of Conservative Dentistry The Institute of Oral Health Science, Samsung Medical Center) ;
  • Oh, Tae-Seok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epartment of Conservative Dentistry The Institute of Oral Health Science, Samsung Medical Center)
  • 곽경인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의료원 치과진료부 보존과) ;
  • 박동성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의료원 치과진료부 보존과) ;
  • 유현미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의료원 치과진료부 보존과) ;
  • 오태석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의료원 치과진료부 보존과)
  • Published : 2000.12.05

Abstract

임상에서 점차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에 대한 우수성이 소개되면서, apical matrix로의 사용은 주목할 만하다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방형근관에서 MTA가 apical matrix로 사용될 때의 치근단 밀폐효과를 알아 보고, 근관충전의 시기와 matrix의 두께가 치근단 밀폐에 미치는 영향을 치근단 미세누출의 측면과 matrix탈락빈도의 측면에서 관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개방형 근관을 재현하고자 45개의 발거된 단근치에 #90크기로 근단공을 형성하였고, 투명레진등을 이용하여 치근단 병소를 갖는 치조골을 재현한 후, 4개의 실험 군과 1개의 대조 군으로 분류하였다. A군: 2mm두께의 MTA matrix 형성후, 열연화된 Gutta-percha와 AH26 sealer를 이용하여 즉시 근관충전. B군: 2mm 두께의 MTA matrix 형성후, A군과 같은 방법으로 24시간 후 근관충전. C군: 4mm 두께의 MTA matrix 형성후, A군과 같은 방법으로 즉시 근관충전. D군: 4mm 두께의 MTA matrix 형성후, A군과 같은 방법으로 24시간 후 근관충전. 대조군: matrix를 사용하지 않고 열연화된 Gutta-percha와 AH26 sealer를 이용하여 근관충전하였다. Matrix의 탈락이 있는 경우 기록하고 완전 수세 후 다시 시행하였다. 색소침투정도의 평가를 위해 methylene blue에 치아를 48시간 침수시킨 후 협설로 양분하였다. 각 시편들을 고배율 현미경 관찰 후 비디오촬영 하였고, digitalized image analysing program을 이용하여 두명의 관찰자가 누출의 정도를 평가한 후, One-way ANOVA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Matrix를 사용한 실험 군이 matrix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은 누출을 보였다(p<0.05). 그러나 근관충전시기와 matrix의 두께를 달리한 실험군 내에서는 누출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모든 실험군에서 gutta-percha를 이용한 근관충전의 시기에 matrix탈락 및 gutta-percha의 압출은 발생하지 않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삼성생명과학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