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Seasonal and Regional Variation in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of the Raw Anchovy (Engraulis japonica)

생 멸치의 함질소 엑스성분조성 및 지역과 계절에 따른 변동

  • PARK Choon-Kyu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Yosu National University)
  • 박춘규 (여수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2000.01.01

Abstrac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seasonal and regional variation of extractive nitrogenous components in the raw anchovy (Engraulis japonica) harvested from June 1991 to June 1992 at Nam-hae and Ki-jang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the contents of extractive nitrogen (EN), free amino acids (FAA), oligopeptides (OP), ATP and its related compounds (ARC), quaternary ammonium bases, and guanidino compounds were measured. The EN contents of raw anchovy were $444{\~}773\;mg/100\;g$. Thirty-four kinds of FAA were found and their total amount were $1,049{\~}2,079\;mg/100\;g$. Histidine, taurine, alanine, leucine and glutamic acid were the major free amino acids in the anchovy extracts. The amount of ARC was average $5.02\;{\mu}mol/g$, and IMP was the major compound among them, who and creatine contents in the extracts or raw anchovy were average 164 and 229 mg/100 g,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glycinebetaine,${\brta}-alaninebetaine,\;{\gamma}-burobetaine$, homarine, TMA, and creatinine were extremely small. As for the regional and seasonal disparities, the Nam-hae samples contained more EN, FAA, OP, betaines and creatine than the Ki-jang samples. On the other hand the Ki-jang samples contained more ARC and TMAO. The spring samples contained more EN, FAA, OP, ARC and betaines than the autumn samples. On the other side the autumn samples contained more TAMO and creatine.

우리 나라 남해안에서 어획되고 있는 생 멸치의 함질소 엑스성분 조성을 밝히기 위하여 1991년 6월부터 1992년 6월까지 경남 남해군 이동면 근해와 양산군 기장면 대변리 근해어장에서 어획된 생 멸치를 계절별로 각각 4회 수집하여 맛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함질소 엑스성분 조성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생 멸치의 엑스분 질소 함량 범위는 $444{\~}773\;mg/100\;g$으로서 높은 때는 낮은 때의 1.7배 이상의 차이가 있었다.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1,049{\~}2,079\;mg/100\;g$이었고, 함량에 있어서 histidine, taurine, alanine, leucine, glutamic acid가 많았다. Oligopeptide류 유래의 아미노산은 $517{\~}l,650\;mg/100\;g$에 달하였고, 유리아미노산 총량의 평균$67.6{\%}$를 차지하였다. ATP 관련 화합물 총량은 평균 $5.02 {\mu}mol/g$이었으며, 그 중 IMP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Betaine류는 glycinebetaine, ${\beta}-alaninebetaine,\;{\gamma}-butyrobetaine$, 및 homarine 이 검출되었으나, 미량에 불과하였다. TMAO와 TMA는 평균 $164mg 과 16mg/100g$ 검출되었고, creatine과 creatinine은 평균 229 mg과 7 mg/100g 검출되었다. 엑스분 중의 질소분포는 지역이나 계절별로 유사한 조성을 나타내었으며, 질소의 회수율은 평균 $93.7{\%}$이었다. 멸치의 함질소 엑스성분에 대한 지역차를 보면 남해산은 기장산 보다 엑스분 질소, 유리아미노산, oligopeptide류, betaine류 및 creatine함량이 높았으나, ATP 관련화합물과 TMAO는 낮았다. 봄멸치는 가을멸치보다 엑스분 질소, 유리아미노산, oligopeptide류, ATP관련물질 및 betaine류가 높았으며, TMAO와 creatinine 함량은 낮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