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reavement Care of Hospice Services in Korea

국내 호스피스 기관의 사별 관리 실태

  • Published : 2000.12.30

Abstract

Purpose : To evaluate the present status of bereavement care in Korean hospice service as a basic database for the effective bereavement care. Method : The data were collected two sets from September to October, 1999 and from November to December, 2000, 55 hospice institutions identified by the Hospice Education Institution, College of Nursing, Catholic University were contacted for a telephone survey. The researchers conducted telephone interviews with hospice administrators for 10 to 30 minutes. Result : 1) Among the 55 Korean Hospice institutions, 38 institutions(69.1%) provided bereavement services. 2) The contents of bereavement services consisted of telephone call 28 institutions(74.5%), bereaved family meeting 26 institutions(69.4%), home visiting 22 institutions(57.9%), mail 16 institutions(42.1%), personal counselling 7 institutions(18.4%). 3) The 26 hospice institutions(68.4%) which provided meetings for bereaved families met with the following frequency : Annually is 11 institutions(42.3%), biannually 6 institutions(23.1%), monthly 6 institutions(23.1%) and bimonthly 3 institutions(11.5%). 4) Only 4 hospice institutions(10.5%) used the assessment tool to screen for high risk of bereaved. 5) The major difficulties of current bereavement services were low attendance for the bereaved family meeting, shortage of professional managers and volunteers, limited accessibility to hospice institutions, little social awareness for the bereaved, and financial difficulties. 6) The hospice administrators express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bereavement program, the education program for the bereavement services, trained professionals, the sufficient provision of human resource and financial support for more effective bereavement services. Conclusion : Although many hospice institutions(69.1%) provided bereavement services, they generally lacked capable bereavement professionals and various individualized bereavement services. In conclusion,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specified bereavement program and the training program for the staff and volunteers, so as to provide customized bereavement services based on individual needs. Further research will be necessary to evaluate the effects of customized bereavement services in Korea before applying to practice.

목적 : 본 연구는 전국 호스피스 기관의 사별관리 실태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사별관리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방법 : 1차로 1999년 9월부터 10월사이, 2차로 2000년 11월부터 12월사이에 한국 가톨릭 호스피스협회와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호스피스 교육연구소를 통해 확인된 전국 55개 호스피스기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인과 연구원이 직접 전화를 걸어 조사목적을 설명한 후 기관의 책임자와 통화하여 면접조사를 하였다. 결과 : 1) 국내 호스피스 기관의 69.1%에서 사별관리를 시행하고 있었다. 2) 사별관리의 내용으로는 전화방문 28개 기관(74.5%), 사별가족 모임 26개 기관(68.4%), 가정방문 22개 기관(57.9%), 우편물 보내기 16개 기관(42.1%), 개별상담은 7개 기관(18.4%)이었다. 3) 사별가족 모임은 26개 기관(68.4%)에서 시행하고 있었고 그 빈도는 연 1회가 42.3%로 가장 많았으며 연2회가 6개 기관(23.1%), 월 1회가 6개 기관(23.1%), 월 2회가 3개 기관(11.5%)을 차지하였다. 4) 사별관리를 위해 사별사정도구를 사용하고 있는 기관은 4개 기관(10.5%)에 불과하였다. 5) 사별관리 운영상의 문제점으로는 사별가족을 모으기가 어렵다는 점이 가장 많았고 사별관리자의 전문적인 지식의 부족, 사별관리 인력의 부족, 호스피스 기관과의 지역적 거리가 먼 경우, 사별자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 부족, 재정적인 어려움 등이 있었다. 6) 효율적인 사별관리 방안으로는 사별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사별관리 교육의 필요성, 전문가 양성, 인력충원, 재정 지원 등의 요구사항이 있었다. 결론 : 국내 호스피스 기관중에서 69%가 사별관리를 시행하고는 있으나, 사별관리 전문가와 인력이 부족하고 사별관리 프로그램도 다양하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사별자의 개별적인 욕구 측면에서 사별관리 프로그램이 다양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효율적인 사별관리를 위해 사별관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관리운영자의 전문적인 교육과 봉사자 교육 및 훈련이 있어야 하고 사별자의 개별성과 요구에 적합한 접근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앞으로 한국실정에 맞는 토착화된 사별관리를 위한 다각적인 연구가 시도되어야 하며 이를 실무에 적용시켜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