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hree Types of Clinical Manifestation of Cow's Milk Allergy with Predominantly Intestinal Symptoms

위장관 증세 위주로 발현하는 영유아기 우유 알레르기 질환의 3가지 임상 유형에 관한 고찰

  • Lee, Jeong-Jin (Department of Pediatrics, Catholic University of Taegu-Hyosung School of Medicine) ;
  • Lee, Eun-Joo (Department of Pediatrics, Catholic University of Taegu-Hyosung School of Medicine) ;
  • Kim, Hyun-Hee (Department of Pediatrics, Catholic University of Taegu-Hyosung School of Medicine) ;
  • Choi, Eun-Jin (Department of Pediatrics, Catholic University of Taegu-Hyosung School of Medicine) ;
  • Hwang, Jin-Bok (Department of Pediatrics, Catholic University of Taegu-Hyosung School of Medicine) ;
  • Han, Chang-Ho (Department of Pediatrics, Catholic University of Taegu-Hyosung School of Medicine) ;
  • Chung, Hai-Lee (Department of Pediatrics, Catholic University of Taegu-Hyosung School of Medicine) ;
  • Kwon, Young-Dae (Department of Pediatrics, Catholic University of Taegu-Hyosung School of Medicine) ;
  • Kim, Yong-Jin (Department of Pathology, Yeungna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이정진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은주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현희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최은진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황진복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한창호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정혜리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권영대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용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해부병리학교실)
  • Received : 2000.01.03
  • Accepted : 2000.02.18
  • Published : 2000.03.30

Abstract

Purpose: During the first year of life, cow's milk protein is the major offender causing food allergy. Cow's milk allergy (CMA) affects 2~7% of infants, of which approximately one-half show predominantly gastrointestinal symptoms. We studied the clinical types of cow's milk allergy with predominantly gastrointestinal symptoms (CMA-GI) of childhood. Methods: The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on 30 (male 22, female 8) patients who had diagnosed as CMA-GI during 2 years and 3 months from March 1995 to June 1997. Results: 1) Children with CMA-GI presented in the three types of clinical manifestation on the basis of time to reaction to milk ingestion: Quick (Q) onset (5 cases), Slow (S) onset (20 cases), Quick & Slow (Q&S) (5 cases). 2) Age on admission of the three group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Q onset: $81.4{\pm}67.1$ days, S onset: $31.9{\pm}12.7$ days, Q&S: $366.0{\pm}65.0$ days). Although the body weight at birth was 10~95 percentile in all patients, body weight on admission was different: (Q onset: 10~50 percentile, S onset: below 10 percentile, Q&S: 10~25 percentile). S onset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with other groups (p<0.05) and 90% of this one was failure to thrive below 3 percentile. 3) Peripheral leukocyte counts were as followings: (Q onset: $5,700{\sim}12,300/mm^3$, S onset: $10,000{\sim}33,400/mm^3$, Q&S: $5,200{\sim}14,900/mm^3$). Slow onset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with other groups (p<0.05). Serum albumin levels on admission were as followings: (Q onset: $4.2{\pm}0.4\;g/dl$, S onset: $3.0{\pm}0.3\;g/dl$, Q&S: $4.0{\pm}0.3\;g/dl$). S onset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with other groups (p<0.05) and 85% of this one was below 3.5 g/dl. 4) Although morphometrical analysis on small intestinal mucosa did not show enteropathy in Q onset and Q&S groups, all cases of S onset revealed enteropathy: 45% of this one showed subtotal villous atrophy, 55 % showed partial villous atrophy. 5) Allergic reaction test to other foods was not performed in S onset group because of ethical problem and high risk in general condition. In Q onset group, allergic reaction to one or two other foods: soy formula, weaning formula and eggs. Q&S goup revealed allergic reactions to several foods or to most of all foods except protein hydrolysate formula: eggs, potatos, some kinds of sea food, apples, carrots, beef and chicken. 6) Serum IgE level, peripheral eosinophil counts, milk RAST, soy RAST, skin tes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Conclusion: CMA-GI may present in three clinical ways on the basis of time to reaction to milk ingestion, typical clinical findings and morphologic changes in the small bowel mucosal biopsy specimens. This clinical subdivision might be helpful in diagnostic and therapeutic approaches in CMA-GI. Early suspicion is mandatory especially in S onset type because of high risks with malnutrition and enteropathy.

목 적: 위장관 증세 위주로 발현하는 우유 알레르기(cow's milk allergy with predominantly gastrointestinal symptoms, CMA-GI)는 유발시험 후 유해반응의 발현시간이 즉각적이지 않아 병력청취를 통하여 우유와 발현 증상의 관련성을 의심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가벼운 구토, 설사 증상부터 괴사성 장염의 발병처럼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경우까지 임상적 스팩트럼이 다양하며, 감염성 질환 등 타 질환과의 철저한 감별진단이 요구되나 어려운 경우가 많다. 저자들은 CMA-GI를 3가지 임상유형으로 분류하여 진단적 효용성을 높이고, 효율적인 치료계획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3월부터 1997년 6월까지 대구효성가톨릭대학병원 소아과에 급, 만성 설사 등 위장관 증세를 주소로 내원하여 우유제거 및 유발시험의 반응을 근거로 CMA-GI로 진단된 30명(남 22명, 여 8명)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우유 유발시험에 따른 유해반응의 발현시기 및 양상에 따라 3가지 임상 유형으로 분류하고, 입원당시 임상소견, 유해반응의 양상, 면역학적 검사소견, 소장 생검조직의 형태학적 분석 등을 이용하여 각 유형을 비교 관찰하였다. Quick (Q)형은 우유 유발시험 후 1시간 이내에 두드러기형 발진 등이 발현한 경우로, Slow (S)형은 유해반응이 1시간에서 24시간사이에 발현한 경우로, Quick & Slow (Q&S)형은 Q형과 S형의 증상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로 분류하였다. 결 과: 1) 대상환아 30명 중 Q형 5례, S형 20례, Q&S형 5례로, S형의 환아가 가장 많았다. 2) 입원당시 연령은 Q형 $81.4{\pm}67.1$일, S형 $31.9{\pm}12.7$일, Q&S형 $366.0{\pm}65.0$일로 각 유형에 따라 호발 연령의 차이를 보였다(p<0.05). 입원당시 체중은 Q형 10~50백분위수, S형 10백분위수 이하, Q&S형 10~25백분위수로 S형과 다른 유형간에 차이를 보였으며(p<0.05), S형 환아 중 90%에서 3백 분위수 이하로 관찰되었다. 3) 입원당시 말초혈액검사상 백혈구수는 Q형 $5,700{\sim}12,300/mm^3$, S형 $10,000{\sim}33,400/mm^3$, Q&S형 $5,200{\sim}14,900/mm^3$로 S형과 다른 유형간에 차이를 보였다(p<0.05). 입원당시 혈중 알부민치는 Q형 $4.2{\pm}0.4\;g/dl$, S형 $3.0{\pm}0.3\;g/dl$, Q&S형 $4.0{\pm}0.3\;g/dl$로 S형과 다른 유형간에 차이를 보였으며(p<0.05), S형 환아 중 85%에서 혈중 알부민치가 3.5 g/dl 이하였다. 4) 소장 조직생검의 형태학적 분석에서 융모의 높이는 Q형, Q&S형은 정상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S형에서는 의미있는 감소를 보였으며(p<0.05), 45%에서 아전 융모위축(subtotal villous atrophy), 55%에서 부분(partial) 융모위축의 소견이 보여 전례에서 장병증(enteropathy) 소견이 관찰되었다. 5) 추적 관찰 중 타 음식물에 대한 알레르기의 발현은 S형의 환아군에서는 환아의 연령, 전신 상태의 불안정과 위험성 등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유발시험을 시행하지 않았으며, Q형에서도 환아의 연령을 고려하여 다양한 유발시험은 제한하였으나, 대개 우유, 대두유, 이유식 분유, 계란 등 1~2가지의 음식물에 유해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Q&S형군에서는 연령에 따른 이유 식이의 필요성에 따라 다양한 유발시험을 시행하였으며, 계란, 감자, 새우 등 해산물, 두부, 사과, 당근, 쇠고기, 닭고기 등 환자에 따라 다양한 음식물에 유해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6) 입원당시 혈중 IgE치, 호산구수, 우유단백 RAST치, 콩단백 RAST치, 피부반응검사는 유형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위장관 증세 위주로 발현하는 우유 알레르기는 유발 시험에 따른 유해 반응의 발현 시기 및 양상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들의 임상소견, 소장생검조직 소견, 면역학적 검사 소견, 타 음식물에 대한 알레르기 발현 유무 등에서 각 유형별로 특징적인 임상 양상을 관찰할 수 있으며, 이들 소견을 비교, 분석하여 감별 진단하는 것이 CMA-GI의 진단 및 치료적 접근에서 효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