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tio-temporal Distributions of Macrobenthic Community on Subtidal Area around Mokpo, Korea

목포 주변 해역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시 ${\cdot}$ 공간적 분포

  • Lee, Jae-Hac (Marine Biology Division, Korea Ocean Research Development Institute) ;
  • Choi, Jin-Woo (Marine Biology Division, Korea Ocean Research Development Institute) ;
  • Park, Heung-Sik (Marine Living Resources Research & Development Center, Korea Ocean Research Development Institute)
  • 이재학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연구단) ;
  • 최진우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연구단) ;
  • 박흥식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자원개발연구센타)
  • Published : 2000.05.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macrobenthic assemblages on the subtidal area around Mokpo, southwest of Korea. A total of 238 species and 663 ind./$m^{2}$ were collected. Polychaetes were the most abundant faunal group that comprised 88 species and had a mean density of 389 ind./$m^{2}$. In the semi-enclosed Youngsan River estuarine bay and neighbouring Mokpo Port area were composed of fine sediments with high organic content, and revealed large seasonal variations in the salinity of surface water and bottom dissolved oxygen in contrast to little seasonal changes in those parameters in the outer area. The study area was classified into four station groups by the cluster analysis; the harbor area, the offshore area, and the inner and outer estuarine bay. Two estuarine bay areas showed different species composition; the dominant species of inner bay were Tharyx sp., Poecilochaetus johnsoni, Heteromastus filiformis and other opportunistic species whereas those in the outer bay were Ruditapes philippinarum, Corophium sinense. From the environmental data and species composition of benthic community, the inner bay was characterized to have unstable benthic faunal assemblages, especially under the seasonal disturbance and receiving large amount of organic matter input and intermittant discharge of fresh water. The coastal developments around Mokpo city also seem to have stressed the subtidal communities spatio-temporally.

본 조사는 목포 인근 연안 저서동물의 종 조성과 군집의 시 ${\cdot}$ 공간적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중 총 238종, 663 ind./$m^{2}$의 생물이 채집되었으며 , 다모류가 88종, 389 ind./$m^{2}$로 가장 우점하는 동물군으로 나타났다. 영산강 하구역과 목포항 부근에서는 니질퇴적상과 높은 유기물함량을 나타냈으며, 표층 염분도와 저층 용존산소 등은 계절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외해역의 경우에는 환경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집괴분석에 의한 군집구조는 4개 지역으로 나누어 졌다. 정점 1과 9로 구성된 2개 그룹은 계절적인 종조성의 차이에 의해, 다른 두 개 그룹은 지역적인 차이에 의해 내만역 (영산강 하구역과 금호방조제 부근)과 연안해역으로 나누어졌다. 이들 지역은 종 수와 생물 다양도에서는 유사하였으나 종조성에서는 큰 차이를 나타냈다. 우점종의 경우 내만역은 Tharyx sp. Poecilochaertus johnsoni, Heteromastus filiformis 등 기회종이 다수 포함된 반면, 연안해역은 Ruditapes philippinarum, Corophium sinense 등으로 구성되었다. 환경변화와 종 조성에 따른 연구 결과, 내만역은 외해역에 비해 담수방류, 유기물 증가 등 저층에 환경교란이 일어나 계절적으로 불안정한 생태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연안개발 등이 시 ${\cdot}$ 공간적으로 목포 주변 해역 저서동물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목포대학연안생물연구 v.1 no.1 목포만의 봄철 식물성 플랑크톤에 대하여 박경양
  2. 목포대학연안생물연구 v.2 no.1 해남만 부유규조류의 계절적 변화 박경양
  3. 수산진흥원 연구보고 v.42 영산강 하류역 댐 건설 전후의 해양환경 비교연구 박영제;김상근;이정애
  4. 인하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연안간척에 따른 천수만의 저서환경과 저서생물군집의 변화에 대한 연구 박흥식
  5. 목포대학 연안생물연구 v.2 no.1 해남만의 저서동물상 연구 신숙
  6. 한국수산학회지 v.26 no.1 해남반도 조간대의 환경과 저서동물상에 관한 연구 신숙
  7. 한국해양학회지 v.30 no.4 광양만 저서다모류의 군집구조 신현출
  8. 한국해양학회지 v.25 광양만 다모류 군집의 시·공간적 변화 신현출;고철환
  9. 부산수산대학교 수산학박사 학위논문 진해만의 저서동물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임현식
  10. 한국수산학회지 v.27 진해만 저서동물의 군집생태 1. 저서환경. 임현식;홍재상
  11. 한국생태학회지 v.20 목포 인근 해역펄 조간대의 저서동물군집 임현식;박경양;임병선;이점숙;주수동
  12. 한국수산학회지 v.31 영산강 하구역의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저서동물 군집 1. 저서환경 임현식;박경양
  13. 한국수산학회지 v.31 영산강 하구역의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저서동물 군집 2. 여름철 빈산소 수괴의 출현과 저서동물 분포 임현식;박경양
  14. 한국수산학회지 v.32 반폐쇄적인 영산강 하구역 조하대 연성저질의 저서동물 군집 임현식;박경양
  15. 한국해양학회지 v.4 남해 양강만 조하대 연성저질 저서동물 군집 임현식;박흥식;최진우;제종길;
  16. 인하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연안 해역 개발에 따른 해양저서생태계의 장기변동 연구-광양만 저서다모 류 군집을 대상으로0 정래홍
  17. 한국해양학회지 v.30 하구언 갑문 폐쇄 후 금강하구의 물리, 퇴적학적 특성 변화 최진용;최현용;서만석
  18. 시화호 외해 연안현경영향조사 4장-최적환경 한국수자원공사
  19. 1차년도 보고서 연안역 개발에 따른 해양생태계 변화 연구 한국해양연구소
  20. 황해연구 v.2 벤토스의 활동과 해저 퇴적물 홍재상
  21. Mar. Poll. Bull. v.17 Effect of high organic enrichment of venthic polychaete population in an estuary Ansari, Z.A.;B.S. Ingole;A.H. Parullekar
  22. Est. Coast. Mar. Sci. v.1 Faunal distribution in soft sediments of the Seven estuary Boyden, D.R.;C. Little
  23. J. Oceanol. Soc. Koear v.25 Distribution pattern of polychaetes worms on the continental shelf and slope of the East Sea(Southwestern Sea of Japen) Choi, J.W.;C.H. Koh
  24. Aust. J. Ecol. v.18 Non-parametric multivariate analyses of changes in community structure Clarke, K.R.
  25. Mar. Ecol. Prog. Ser. v.46 Statistical design and analysis for a biological effects' study Clarke, K.R.;R.H. Green
  26. An approach to statis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Change in marine communities Clarke, K.R.;R.M. Warwick
  27. Mar. Ecol. Prog. Ser. v.11 Immediate effects of a storm on castal infauna Dobbs, F.C.;J.M. Vozarik
  28. Mar. Ecol. Prog. Ser. v.8 A practical strategy for analysing multispecies distribution patterns Field, J.G.;Clarke, K.R.;R.M. Warwick
  29. J. Exp. Mar. Ecol. Prog. Ser. v.152 Tolerance of low dissolded oxygen and hydrogen sulfide by the polychaete Streblospio benedicti Llanso, R.J.
  30. J. Mar. Res. v.46 Field mesurements of the fluid and sediment dynamic environment of a benthic deposit feeder Miller, D.C.;R.W. Sternberg
  31. J. Mar. Res. v.50 Deposit and suspension feeding in oscillatory flows and sediment fluxes Miller, D.C.;M.J. Bock;E.J. Terner
  32. Oceanogr. Mar. Biol. Ann. Rev. v.16 Macrobenthic succession in relation to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Pearson, T.H.;R. Rosenberg
  33. Aust. J. Mar. Freshwater Res. v.29 Benthos of the Port of Melbourne: the Yarra River and Hobsons Bay, Victoria Poore, G.C.B.;J.O. Kudenov
  34. The American Naturalist v.102 Marine benthic diversity: A comparative study Sanders, H.L.
  35. Bull. Jap. Soc. Sci. Fish. v.47 On the behavior of the indicator species of marine bottom pollution Sanukida, S.;H. Okamoto;M. Hitomi
  36. The mathe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Shannon, D.E.;W. Weaver
  37. J. Oceanol. Soc. Korea v.24 no.4 Faunal assemblages of benthic macrofauna in the iner- and subtidal region of the inner Kyionggi Bay, west coast of Korea Shin, H.C.;J.W. Choi;C.H. Koh
  38. Oceanolgr. Mar. Boil. Ann. Rev. v.32 Animal-sediment relationships revised: cause versus effect Snelgrove, P.V.R.;C.A. Butman
  39. Mar. Ecol. Prog. Ser. v.3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fauna associations in the Bristol Channel in relation to tidal stress Warwick, R.M.;R.J. Uncles
  40. Limnol. & Oceanogr. Ser. v.37 Utilization of deposited and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by benthic 'interface' feeders Taghon, G.L.;R.B. Greene
  41. Mar. Ecol. Progr. Ser. v.46 A mesocosm experiment on the effect of hydrocarbon and copper pollution on a sublittoral sofy-sediment meiobenthic community Warwick, R.M.;M.R. Car,;K.R. Clarke;J.M. Gee;R.H. Green
  42. J. Fish. Res. Bd. Can. v.36 Tidal energy and sublittoral macrobenthic animals in esturies Wildish, D.J.;D.D. Kristmanson
  43. Can. J. Fish. Aquat. Sci. v.50 Seasonal changes of dissolved oxygen and plants nutrients in seawater near Salmonid net pens in the macrotidal bay of Fundy Wildish, D.J.;P.D. Keizer;A.J. Wilson;J.L. Mart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