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Sedimentology for the Lacustrine Deposits of the Upper Gyeongsang Supergroup in the Southeastern Gyeongsang Basin, Korea

경상분지 동남부의 상부 경상누층군에 발달한 호성퇴적층에 대한 비교퇴적학적 연구

  • Paik, In-Su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Geo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Hyun-Jo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Geo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Joon-Dong (Department of Ge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In-Soo (Department of Ge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Jin-Seop (Department of Ge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Moon, Byoung-Cha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Kwangju National University)
  • 백인성 (부경대학교 환경 해양대학 환경지질과학과) ;
  • 김현주 (부경대학교 환경 해양대학 환경지질과학과) ;
  • 이준동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학과) ;
  • 김인수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학과) ;
  • 김진섭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학과) ;
  • 문병찬 (광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0.08.30

Abstract

The lithofacies, biofacies, and paleosol development of the Jindong Formation, the Geoncheonri Formation, and the lacustrine deposits of Mt. Hwangryeong at Pusan, which occur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Gyeongsang Basin, were analyzed in comparative sedimentology and in stratigraphy. The common features of these lacustrine deposits are: 1) clastic deposits are prevailing, 2) deltaic deposits are not associated, 3) mudflat deposits are common, and 4) stromatolites are absent. The distinct differences among these deposits are: 1) in the Jindong Formation, the mudflat deposits are predominant, pedogenic calcretes are commonly present, and dinosaur tracks frequently occur, compared with other two lacustrine deposits, and 2) in the Geoncheonri Formation, invertebrate fossils are relatively common and storm deposits are not recognized, compared with other deposits, and 3) evaporite mineral casts and tuffaceous turbidite deposits are common in the Mt. Hwangryeong lacustrine deposits. In stratigraphy, the Geoncheonri Formation is correlated with the lower part of the Jindong Formation, and the Mt. Hwangryeong lacutsrine deposits are deemed to overlie the Jindong Formation. On the basis of comparative sedimentology and stratigraphic relationship among these lacustrine deposits, general paleoenvironements of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Gyeongsang Basin from the late Hayang time to the early Yucheon time are interpreted as follows. During the late Hayang time, tectonic and volcanic activities were generally inacitive in the Gyeongsang Basin, and lacustrine environments expanded since the paleoclimatic condition became less arid compared with the middle Hayang time. In general, however, paleoclimate during the late Hayang time was still arid, and wetting and drying periods were alternated. The occasional occurrences of severe droughts were also characteristic of the late Hayang time. Mudflats existed in wide area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Gyeongsang Basin during the late Hayang time, and sedimentation rate was accordingly low. The sedimentation rate became relatively high during the latest Hayang time and the early Yucheon time since tectonic and volcanic activities had been active. Generally arid climate continued for the early Yucheon time, enough for evaporite minerals to precipate occasionally.

경상분지 동남부 지역에 발달된 하양층군 퇴적말기의 진동층 및 건천리층과 하양층군 최상부 또는 유천층군 최하부의 지층으로 설정되어 있는 부산 황령산 지역의 호성퇴적층을 대상으로, 이들 퇴적층의 퇴적상, 화석상, 고토양상 등을 비교퇴적학 및 층서학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세 호수퇴적층의 공통적인 발달특성은 1) 전반적으로 쇄설성퇴적층이 지배적인 반면, 2) 삼각주퇴적층이 수반되어 있지 않으며, 3) 이질평원퇴적층이 흔히 발달되어 있고, 4)스트로마톨라이트의 발달이 없는 점 등이다. 한편 세 호수퇴적층 발달특성의 대표적인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1) 진동층은 다른 두 호성퇴적층에 비하여 이질평원퇴적층의 발달이 지배적이며, 석회질고토양의 발달이 빈번하고, 다른 두 호성퇴적층에서는 산출되지 않는 공룡족흔 화석층의 발달이 일반적이다. 2) 건천리층은 다른 두 호성퇴적층에 비하여 무척추동물화석의 산출이 일반적이며, 다른 두 호성퇴적층에서는 발달하는 폭풍퇴적층이 발달되어 있지 않다. 3)황령산지역 호성퇴적층은 진동층 및 건천리층에서는 산출하지 않거나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증발광물의 캐스트가 흔히 산출되며, 응회질 저탁암층의 협재가 일반적이다. 세 호성퇴적층의 층서관계의 경우, 건천리층은 진동층의 하부에 대비되고, 황령산 지역 호성퇴적층은 진동층의 상위에 놓이는 지층으로 추정된다. 이들 3개 호성퇴적층의 층서관계 및 발달특성을 토대로 해석된 하양층군 퇴적말기에서 유천층군 퇴적초기에 이르는 동안의 경상분지 동남부 지역의 퇴적특성은 다음과 같다. 하양층군 퇴적말기의 경상분지는 지반이 비교적 안정된 상태였으며, 이에 따라 화산활동은 그리 활발한 편이 아니었다. 기후조건의 경우 하양층군 퇴적중기 때보다는 비교적 습윤하여져 호수환경이 확장된 상태였으나, 전반적으로는 건조한 기후가 지배적인 환경이었으며, 특히 건기와 우기가 교호되는 기후조건이발달하는 가운데에 매우 극심한 가뭄이 빈번히 발달하였다. 하양층군 퇴적말기에 경상분지의 동남부 지역은 호수연변부의 이질평원이 넓게 발달한 가운데에 퇴적작용이 매우 느리게 진행되었으나, 백악기 후기(하양층군 퇴적최후기 및 유천층군 퇴적초기)에 접어들면서 조구조운동과 이에 따른 화산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이 지역의 퇴적속도는 상대적으로 빨라지게 되었다. 백악기 후기의 기후조건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건조한 기후가 전반적으로 유지되었으며, 일부 지역은 증발암광물이 형성될 정도로 건조한 기후가 발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지질학회지 v.24 부산지역 백악기 다대포층에 대한 고자기학적 연구: 그의 층서적 김인수
  2. 암석학회지 v.2 부산일원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산암류의 암석학적 연구(Ⅰ) 김진섭;윤성효
  3. 지질학회지 v.29 경상누층군에서 확인된 엽리상 캘크리트, 캘크리트 피조이드와 우이드 및 리졸이스 백인성;천종화
  4.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경상북도 군위지역 백악기 경상누층군 진주층과 일직층의 퇴적학적 연구 손진담
  5. 지질학회지 v.14 한국 경상층군에서 발견된 Nippononaia ryosekiana에 관하여 양승영
  6. 지질학회지 v.18 상부 경상누층군에서 발견된 백악기 공룡의 족흔화석에 관하여 양승영
  7. 한국고생물학회 정기총회 및 제16차 학술발표회 요약집 경남 고성군프로젝트 야외조사에서 발견된 몇가지 사실 양승영
  8. 한국동력자원연구소 연구보고 v.36 경상분지의 경상누층군에 대한 지질 및 지화학적 연구 엄상호;최현일;손진담;오재호;곽영훈;신성천;윤현수
  9.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한국 고성 백악기 진동층의 생흔화석 임성규
  10. 지질학회지 v.14 경상분지 상부 중생계의 층서퇴적 및 지구조 장기흥
  11. 지질학회지 v.34 백악기 구산 동응회암 저어콘 결정들의 형태 CHIME 연령 및 지사적 의의 장기흥;이윤종;스즈키 카즈히로;박순옥
  12. 한국지질도(1:50,000) 부산·가덕도폭 설명서 장태우;강필종;박석환;황상구;이동우
  13. 한국 지질도(1:50,000) 충무도폭 설명서 장태우;황상구;이동우;오인섭;김학천;김의홍
  14. 한반도 퇴적분지별 화석상 연구 전희영;최봉필윤;이호영
  15. 부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밀양소분지와 의성소분지에 분포하는 중생대 하부백악기 진주층의 퇴적환경 천종화
  16. 한국의 지질 상부 중생대층 최현일;대한지질학회(편찬)
  17. Lacustrine Facies analysis Anadon, P.;Cabrera, LI.;Kelts, K.(eds.)
  18.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11 Cretaceous stratigraphy of southeast Korea Chang, K. H.
  19. Journal of Paleontology Society of Korea v.1 Spores and pollen from the Gyeongsang Supergroup, southeastem Korea and their chronologic and paleoecologic implications Choi, D. K.
  20.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21 Sedimentology and its implications for Stratigraphic classifications of the Gretsceous Gyeongsang Basin Choi, H.I.
  21.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31 The Cretaceous Kyokpori Formation, SW Korea: sublacustrine steep-sloped delta facies Chun, S. S.;Kim, S. B.
  22. Sedimentology v.42 The Cretaceous Uhangri Formation, SW Korea : lacustrine margin facies Chun, S.S.;Chough, S.K.
  23. Seuqence Stratigraphy and Facies Associations v.18 Cyclic sedimentation in a large wave-and storm-dominated anoxic lake: Kap Stewart Formation(Rhaetian-Sinemurian), Jameson Land, East Greenland Dam, G.;Surlyk, F.;Posamentier, H.W.(ed.);Summerhayes, C. P.(ed.);Hag, B. u.;Allen, G. P.(ed.)
  24. Sedimentary Basins-Evolution, Facies, and Sediment Budget Einsele, G.(ed.)
  25.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v.61 Cyclicity in the Green River Fornation (Lacustrine Eocene) of Wyoming Fischer, A. G.;Roberts, L. T.
  26. Geological Map of Korea (1:1,000,000) Kang, P.C.;Chwac, U.C.;Kim, K.B.;Hong, S.H.;Lee, B.J.;Hwang, J.H.;Park, K.H.;Hwang, S.K.;Choi, P.Y.;Song, K.Y.;Jin, M.S.
  27.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18 Origin of Graded cherty beds containing Skolithos ichnosp, from the Cretaceous Yucheon Group in Mt. Hwangryeong Area, Pusan, Korea Kim, J.Y.;Paik, I.S.
  28. Residual Deposits v.11 A process-response model for the formation of pedogenic calcretes Klappa, C.F.;Wilson, R.C.L.(ed.)
  29.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27 Depositional Environments and Diagenetic History of the Panyawol, Hwasan, and Shinyangdong Formations, Kyongsang Supergroup, Korea-with Emphasis on Carbonate Rocks Lee, K.C.;Woo, K.S.;Paik, K.H.;Choi, S.J.
  30. Dinosaur Track and Traces Large dinosaur footprint assemblages from the Cretaceous Jindong Formation of Korea Lim, S.K.;Yang, S.Y.;Lockley, M.G.;Gillette, D.D.(ed.);Lockley, M.G.(ed.)
  31. SEPM Core Workshop v.19 Lacustrine Reservoirs and Depositional systems Lomando, A.J.;Schreiber, B.C.;Harris, P.M.(eds.)
  32. Lacustrine Facies Analysis v.13 Wave dominated lacustrine facies and tectonically controlled cyclicity in the Lower Caboniferous Horton Bluff Formation, Nova Scotia, Canada Matel, A.T.;Gibling, M.R.;Anadon, P.(ed.);Cabrera, LI.(ed.);Kelts, K.(ed.)
  33. Cretaceous Research Donosaure track deposits from the Late Cretaceous Jindong Formation, Korea: occurrence, paleoenvironments and preservation Paik, I.S.;Kim, H.J.;Lee, Y.I.
  34. Korea. Journal of Paleontology Society of Korea v.12 Paleoenvironments of the Cretaceous lacustrine deposits (Yucheon Group), Mt. Hwangryeong, Pusan Paik, I.S.;Kim, H.J.;Kim, J.Y.;Jin, S.I.
  35. Korea. Journal of Sedimentary Research v.68 Subaerial lenticular cracks in Cretaceous lacustrine deposits Paik, I.S.;Kim, H.J.
  36. Facies and Stratigraphy(3rd ed.) Sedimentary Environments: Precesses Reading, H.G.(ed.)
  37. Paleogeography, Paleoclimatology, Paleoecology v.84 Sedimentary facies and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early Mesozoic Newark Supergroup basins, eastern North America Smoot, J.P.
  38. Japanese Journal of Geology Geography v.17 Non-marine molluscan faunule of the Shiragi Series in South Korea Suzuki, K.
  39. Paleogeography, Paleoclimatology, Paleoecology The Phanerozoic record of lacustrine basins and their environmental signals Talbot, M.R.;K. Kelts(eds.)
  40. Geological Survey of Chosen Geological Atlas of Korea, Gyeongju, Yeongcheon, Daegu and Waegwan Sheets Tateiwa, I.
  41.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v.44 Petrology of carbonate rocks of the Green River Formation (Eocene) Williamson, C.R.;Picard, M.D.
  42.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14 On the Discovery of Nippononaia ryosekiana form Gyeongsang Group Yang, S.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