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il Quality Assessment for Environmentally Sound Agriculture in the Mountainous Soils; Analysis of Sediment Data and Suggestion of Best Management Practices

산지에서의 환경보전형 농업을 위한 토양의 질 평가;유사자료의 분석과 최적영농방법의 제안

  • Choi, Joong-Dae (Division of Agricultural Engineering,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Park, Ji-Sung (Division of Agricultural Engineering,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Jeong-Je (Division of Biological Environment,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Yang, Jae-E (Division of Biological Environment,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Jung, Yeong-Sang (Division of Biological Environment,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Yun, Sei-Young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angji University)
  • 최중대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공학부) ;
  • 박지성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공학부) ;
  • 김정제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자원생물환경학부) ;
  • 양재의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자원생물환경학부) ;
  • 정영상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자원생물환경학부) ;
  • 윤세영 (상지대학교 응용식물과학부)
  • Published : 2000.09.30

Abstract

Eleven runoff $plots(3{\times}15\;m)$ were built on a sloping field of a high plateau in Kangwon Province, Korea. The plot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tillage, residue covers and fertilizers, corn and potato were cultivated, and sediment discharge was measured from the plots for 3 years. Agricultural management practices were monitored around the plots to develop adequate best management practices. The least sediment occurred from the plots with no-till and 100% residue cover $(corn,\;0.1{\sim}2.2\;t/ha/year)$ and with contour tillage and vinyl sheet cover plots $(potato,\;0.1{\sim}0.2\;t/ha/year)$. The largest sediment was measured from the plots with up-and-down till and no cover ($11{\sim}33$ and $16{\sim}31\;t/ha/year$ from corn and potato plots, respectively). The type of organic and commercial fertilizers seemed not to affect sediment discharge. Sediment discharge from contour plots were largely dependent on the collapse of ridges due to the flush of water stored in furrows. The sediment discharge from contour corn and potato plots with no residue cover was $10{\sim}27$ and $16{\sim}24\;t/ha/year$, respectively. No-till with residue cover, vinyl cover for tuber crops, construction of furrow dam, frost heave research, furrow and ridge tillage with furrow dam after tuber crop harvest, limited stalk harvest of row crops, use of winter cover crops, and other common best management practices were recommended to minimize the sediment discharge from a high plateau sloping land culture.

강원도 고랭지 경사 농경지에서의 유사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최적영농방법 제안을 위하여 대관령 부근의 고령지 농업시험장의 작물포장을 선정,설치하였다. 가로 25m 세로 60m로 장방형 면적에 유출시험포 11개를 설치하고 경운방법, 지표피복 및 시비방법을 달리하며 3년동안 유사량을 조사하였다. 무경운에 100% 지표 피복 처리된 옥수수 시험포와 비닐로 멀칭한 감자 시험포에서 가장 작은 유사가 발생하였다. 최대의 유사는 등고선과 직각방향으로 경운한 시험포에서 발생하였다. 무경운에 100% 지표피복 처리된 옥수수 시험포의 연유사량은 $0.1{\sim}2.2\;ton/ha/year$, 등고선에 평행으로 경운한 시험포는 $10{\sim}27\;ton/ha/year$, 그리고 등고선에 직각으로 경운한 시험포는 $11{\sim}33\;ton/ha/year$으로 나타났다. 감자 시험포의 연유사량은 비닐피복 시험포에서 $0.1{\sim}0.2\;ton/ha/year$, 등고선에 평행으로 경운한 시험보에서 $16{\sim}24\;ton/ha/year$, 그리고 등고선에 직각으로 경운한 시험포에서 $16{\sim}31\;ton/ha/year$으로 측정되었다. 파종이나 수확 후에 큰 비가 내리면 많은 양의 유사가 발생하였다. 감자는 수확 시 고랑과 이랑을 만들고 고랑에는 격벽을 설치하고 옥수수는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 이상만 수확하여 유사의 양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또한 동절기 풍식과 눈 녹은 물에 의한 수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동상방지대책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랭지 경사농경지의 최적관리방법으로 무경운 영농, 지표피복, 고랑격벽의 설치를 통한 이랑붕괴의 최소화, 승수로의 설치, 완충지의 설치, 동상방지방법의 개발, 겨울작물의 재배 등이 제안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