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retory and Sensory Receptor Cells in the Sucker of Korean Octopus minor II

한국산 낙지(Octopus minor) 흡반(Sucker)내 분비 및 감각수용세포 II

  • 장남섭 (목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Published : 2000.09.01

Abstract

Five kinds of sensory cells, called A1-, A2-, B-, C-, and D-type cell, respectively, are observed in the epithelial tissue of suker's infundibulum of Cephalopoda, Octopus minor. The A1-type cells lie side by with the B-type cell in the epithelium of sucker's infundibulum. In the A1-type, the nucleus shapes irregularly and the karyolymph appears dark due to its high electron density. The cytoplasm is filled with many vacuoles of various sizes ($0.04\sim0.4{\mu}m$ in diameter), which move to the apical portion of the cell to be secreted via glycocalyx. The A2-type cells are mainly found at the basal portion of the epithelium. The shape of its nucleus is similar to that in the A1-type cell, and the cytoplasm, filiform or in reticular form, shows high electron density. The B-type cell contains an ovoid nucleus and the cytoplasm where lots of vacuoles which resemble the endoplasmic reticulum and electron-dense round granules of various sizes $(0.25\sim0.6{\mu}m)$ are found. The vacuoles and granules are secreted into the free surface via glycocalyx. The C- and D-type cells in simple or stratified layer are observed at the folded portion of the sucker's epithelium. The C-type cell contains a low electron-dense elliptical nucleus, while the D-type cell has an irregular nucleus where beterochromatin is well developed.

두족강 낙지류(Octopus minor)의 흡반 누두부 상피조직에서 관찰된 감각세포들은 A1, A2, B, C그리고 D형세포 등 5종류가 관찰되었다. A형세포는 A1과 A2형 등 두 종류가 확인되었다. A1형은 주로 흡반의 누두부 상피조직에서 B형세포와 나란히 연접되어 있었으며 핵은 불규칙한 형태였고 핵질은 전자밀도가 높아서 어둡게 관찰되었다. 세포질 속에는 대, 소형의 많은 공포들(직경 $0.4\sim0.04{\mu}m$)로 가득차 있었으며 이들은 세포의 상단쪽으로 이동하면서 당피막을 통해 분비되었다. A2형은 주로 상피조직의 하단부에 존재하였으며, 핵의 형태는 A1형과 같았다. 세포질은 사상형 또는 망상형으로 전자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B형세포는 난원형의 핵을 소지하고 있었으며, 세포질속에는 소포체 모양의 많은 공포들과 전자밀도가 높은 다양한 크기$(0.6\sim0.25{\mu}m)$의 둥근 과립들이 있었는데 이들은 당피막을 통해 세포의 자유면으로 분비되었다. C형세포와 D형세포는 주로 흡반상피의 주름진 부위에서 단층 또는 다층 구조 형태로 관찰되었다. C형세포는 전자밀도가 낮은 긴 타원형의 핵을 소지한데 비해, D형은 이질염색질이 발달된 불규칙한 핵을 소지하고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