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roved Preservation Methods for Big and Old Tress in South Korea

우리 나라의 노거수자원(老巨樹資源) 보호관리실태(保護管理室態) 및 개선방안(改善方案)

  • 박종민 (전북대학교 산림과학부(농업과학기술연구소)) ;
  • 서병수 (전북대학교 산림과학부(농업과학기술연구소)) ;
  • 이정택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Received : 2000.06.29
  • Published : 2000.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provide essential data and relevant management proposal to conserve and maintain big and old trees in a rational way. For the field survey, 77 big and old trees preserved by the laws in Chollabuk-do, Korea were investigated.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o conserve and manage big and old trees, the valuable trees have been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trees and protection-needed trees. There are 141 individuals of 37 species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s and 10,049 individuals of 102 species designated as protection-needed trees. 2. Management budget for natural monument trees was devoted at 70% from the national expenditure, but that for protection-needed trees was devoted at 98% from the local expenditure. 3. Standardized sign boards and sign stones for natural monument trees were well placed and other protection facilities such as fences, branch supports and branch holdings were established. On the other hand, management of protection-needed trees was deficient overall. 4. Problems for designation process and management of protection-needed trees could include items such as insufficient management budget, various development activities, land ownership, misjudgement of tree age and species identification, unsatisfaction of sign board placement, insufficient surgery for damaged trees, pavement around tree root system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round the trees. 5. In order to improve the existing management methods of big and old trees, the following schemes were suggested :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criteria for natural monument and protection-needed trees, nationwide surveys of big and old tree resources, the security of national budget, securing sufficient spaces for the tree growth, specialization of management systems, extended practices of tree form management, establishment of permanent standard signs and consideration of opinions of village residents.

본 연구는 노거수 자원을 합리적으로 보호관리하는 데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보호관리실태와 문제점들을 조사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방법은 자료조사, 현장조사, 면담 및 설문 등을 병행하였다. 현장조사는 전라북도 내의 천연기념물 노거수 14그루와 보호수 63그루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노거수 자원을 보호관리하는 유형은 문화재보호법에 의한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과 산림법에 의한 보호수(保護樹)로 대별된다. 천연기념물은 명확한 지정기준이 없는 반면에, 보호수는 수종별(樹種別)로 수령(樹齡), 수고(樹高), 흉고직경(胸高直徑)의 기준을 정하고 있다. 1999년 현재 38종 141그루의 노거수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고, 102종 10,049그루가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다. 2. 재원별 관리예산은 천연기념물은 국비 70%, 지방비 30%인데 비해 보호수는 지방비가 98%를 차지하고 있다. 전국의 연평균 보호수 관리예산은 지방자치단체의 녹지(산림)행정 총예산의 평균 1.1%에 해당한다. 보호수 1그루당 관리비는 지역별로 차이가 많았으며, 전반적으로 보호수의 수량과 관리예산과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3. 보호수의 관리내용은 표지판 설치, 외과수술, 보호시설 설치 등의 순서인데 예산 투자는 외과수술, 보호시설 설치, 표지판 설치 등의 순서이었다. 4. 천연기념물은 표준 안내표지판과 표지석이 비교적 잘 설치되어 있고 기타 보호시설로서 울타리, 가지 지지대, 가지조임, 화단 등이 설치되어 있었다. 보호수는 표준화되지 않은 안내표식이 1/3에만 설치되어 있고, 전반적으로 관리가 소홀한 편이었다. 5. 보호수 지정 및 관리상의 문제점은 수령(樹齡)과 수종의 오류, 안내표식 설치 미흡, 훼손부위 처치 및 외과수술 미흡, 근권(根圈)의 포장, 주변의 오염, 관리예산의 부족, 각종 개발행위, 토지소유 형태 등이었다. 6. 천연기념물의 경우는 명확한 지정기준 설정, 경상관리예산 편성, 사유 토지 매입, 관리 부서에 전문 직원 배치 또는 업무이관 등의 개선이 요구된다. 보호수의 경우는 지정기준의 합리화, 전국적인 노거수 자원조사, 관리예산(특히 국비예산)의 확보, 관리체계의 전문화, 관계법규 강화, 수종 수령의 오류 보완, 생육공간의 확보, 생장 및 수형관리의 확대실시, 영구적인 표준 안내표식 설치, 노거수자원에 대한 주민의식 제고 방안 모색 등의 개선이 요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