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 on the New Teaching Strategy Facilitating Reflective Thinking in the Learning of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물질의 입자성 학습에서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키는 새로운 입자모델 교수전략의 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

  • Kim, Do Wook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김도욱 (공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0120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the new teaching strategy based on the particulate model facilitating the reflective thinking (RE-PM) in the learning of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new teaching strategy in compare with the traditional teaching strategy (TS-PM) after treating with new teaching strategy on preliminary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The problems of traditional teaching strategy are as follows: 1) Most of students didn't think the particulate model connected with practical material. 2) Most of students have a tendency of the rote memory on learning of the traditional particulate model. 3) The ratio of changing the view of continuous matter into the view of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was very low, after learning the particulate model using of the traditional teaching strategy. The new teaching strategy facilitating the reflective thinking was more effective on the understanding of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and the driving of motivation than the traditional teaching strategy in the learning of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입자모델 교수 전략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잘 변화하지 않는 학습자의 신념체계인 연속적인 물질관을 입자적인 물질관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입자모델 교수 전략으로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키는 입자모델 교수 전략을 고안하였다. 고안된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키는 입자모델 교수 전략을 초등학교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처치한 후,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키는 입자모델 교수 전략의 효과를 전통적인 입자모델 교수전략과 비교 분석하였다. 전통적인 입자모델 교수전략의 문제점으로는 1) 입자모델을 실제물과 연결시켜 생각하지 못하는 문제점, 2) 입자모델을 학습할 때 무조건 암기하는 학습전략을 사용하는 경향이 높은점, 3) 입자모델을 수없이 학습한 후에도 연속적 물질관을 입자적 물질관으로 변화시키지 못하는 학생의 비율이 매우 놓은점, 4) 물질을 학습할 때 과학적 상황으로 학습하므로 물질에 대한 사고가 과학적 상황에 제한되어 있어 일상적 상황으로 연관시키지 못하는 문제점 등이 있다. 전통적인 과학적 상황의 입자모델 교수전략과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키는 일상적 상황의 입자모델 교수전략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일상적 상황의 입자모델 교수전략이 개념이해측면, 흥미측면, 입자적 물질관 형성정도, 기억측면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과학교육에의 중요한 시사점은 일상적 상황의 입자모델 교수전략 방법이 과학을 과학적 상황(실험실 상황)에서만 국한되어 사고하는 것이 아니라, 학교 과학 수업시간에 학습한 과학을 일상 상황과 연관시켜 사고할 수 있도록 해 준다는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12 김도욱
  2.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몰개념 학습에서 오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업모형의 효과 김도욱
  3. Science Education v.65 Novick, S.;Nussbaum, J.
  4. Science Education v.62 Novick, S.;Nussbaum, J.
  5. 서울대학교석사학위논문 분자운동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조사 박성미
  6.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고체, 액체, 기체상태의 분자운동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조사 홍미영
  7.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v.15 조양숙;이희순;김도욱
  8. Occasional Paper no.121;122 Matter and Molecules. Teacher's Guide: Science Book Anderson, C. W.;Berkheimer, G. D.
  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17 노태희;전경문
  1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18 노태희;차정호;김창민;최용남
  1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19 노태희;차정호;김창민
  12.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입자수준의 동영상을 이용한 컴퓨터 보조학습의 효과 차정호
  13. 교원대 석사 학위 논문 Anderson의 요술안경 교수방법이 초등학교 6학년 아동들의 자연학습에 미치는 효과 분석 채종락
  14. 교원 양성 대학의 화학교육학 교재 개발 연구 최병순;강순희;박종윤;김도욱;김경희
  15. 서울대 박사 학위 논문 대립개념의 증거적 비판 논의와 반성적 사고를 통한 대학생의 힘과 가속도 개념 변화 김익균
  16. GCSE Chemistry Morris, J.
  17. 물리교육 v.7 권재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