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Production of In Vitro Embryos and Twin Calves by Embryo Transfer in Korean Native Cattle

한우 체외수정란의 생산과 이식후 쌍자 생산에 관한 연구

  • 김용권 (동아대학교 축산학과) ;
  • 김진성 (동아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과학부)
  • Published : 2000.03.01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perform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culture conditions of embryos produced in vitro, and to assess the developmental potential after transfer of those embryos into recipients. The mean number of folliclular oocytes recovered from an ovary was 10.7. The rates of maturation and fertilization in Grade I oocyte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Graden and III. Developmental rate into blastocyst in the culture group of TCM-199 with BOEC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e groups of TCM-199 and conditioned medium (24.7% vs. 12.4% and 18.2%). The survivability of post-thawed blastocysts equilibrated for 3 min in EFS solution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l0 for 1 and 2 min (32.1% vs. 82.9% and 73.3%). Significantly higher (P<0.05) survival rate in blastocysts was seen after freezing than in morulae stage embryos. Out of all 105 recipients, 49 (46.7%) were confirmed in pregnant. On pregnancy of cattle, 48 calves were born from 40 recipients. The ratio of twin and single calves was 30.5% (32/40 and 7.6% (8/40), respectively. However, the others composed of abnormal, as judging as 6 (12.2%) for abortion and 3 (6.1%) for stillbirth during the pregnant period.

본 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여 보면, 1. 소난포(<2 mm), 중난포 (2~6 mm) 및 대난포 (>6 mm)에서 각각 184개, 157개 및 101개의 난포란을 회수하여 442개의 난포란을 채취하였으며, 난포의 크기별로 볼 때 Grade I인 난포란의 회수는 소난포에서 64개 (34.8%), 중난포에서 31개 (19.7%) 및 대난포에서 5개 (5.0%)를 회수하였으며, 등급별 총 회수율은 Grade I, II 및 III 에서 각각 100개, 170개 및 172개를 회수하였다. Grade I, II, 및 III의 난소당 채란된 수는 각각 2.4개 및 4.2개로 평균 난소당 10.7개의 난포란을 회수하였다. Grade I, II, 및 III 의 미성숙 난포란, 각각 200개, 196개 및 203개를 체외성숙 배양액에서 22~24 시간동안 배양한 결과, 188개(94.0%), 155개 (79.1%) 및 147개 (72.4%)의 난포란이 성숙되었으며, 수정율은 각각 88.3%, 76.6% 및 72.5% 였다. Grade I의 난포란의 성숙율 및 수정율이 Grade II와 III에 비하여 유의적 (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TCM-199 배양액, 난관 상피세포가 첨가된 배양액 또는 난관 상피세포의 단순배양액 (CM) 에서 상실배의 발달율은 각각 24.1%, 31.2% 및 21.9%로서 CM 배양액보다 난관 상피세포에서 유의적 (P<0.05)으로 높은 발달율을 얻었으며, 배반포 수정란의 경우, 발달율이 각각 12.4%, 24.7% 및 18.2%로서 TCM-199 배양액보다 난관 상피세포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배양한 것이 유의적 (P<0.05)으로 높은 발달율을 보였다. 2. 동결보호제에 대한 평형시간이 l분, 2분 및 3분일 때, 체외수정란의 생존율은 각각 82.9%, 73.3% 및 32.1%로서, 평형시간이 1분과 2분일 때의 생존율이 3분 동안 평형한 수정란보다 생존율이 유의적 (P<0.05)으로 높았으며, 3분 동안 평형시에는 수정란의 생존율에는 치명적이었다. 배반포 수정란을 동결보존한 후의 생존율은 72.7%였으며, 상실배는 33.3% 가 생존하여 상실배보다는 배반포 수정란의 생존율이 유의적 (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3. 배반포 수정란을 105두의 수란우에 이식한 결과, 임신우 49두(46.7%)가 임신되었으며, 그 중에서 12.2% (6/49) 의 유산율과 6.1%(3/49)의 사산율을 보였고, 최종 40두(81. 7%)가 분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난포란의 체외배양 시 이식가능한 체외수정란의 생산율은 25%로서, 이는 난소 한개당 2.7개의 체외수정란 생산을 나타낸다. 생산된 수정란을 수란우에 이식한 결과 46.7% 의 임신율을 보여 향후 안정적인 쌍자 분만을 위해서 한우 수정란을 젖소의 대리모를 이용하는 방안에 대해 더욱 연구해 보아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