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Effec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환자를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연구

  • Published : 2000.04.01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f a 7-week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improving pain, depression, and disability by employing a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subjects were regular out-patients of a RA aclinic in an University Hospital in Inchon from November 11. 1998 to December 24. 1998. The Experimental group included 18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an arthritis health promotion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included 18 patients who did not. The 7-week health promotion program, which had the objective to enhance health promoting skills, was provided to patients. The effects of this program on the patients' pain, depression, and functional disability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a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was found on these dependent variables (Hotelling's T =.30, F=3.11, p=.04). To examine which dependent variables had significant effects, one-way ANOVAs were performed. There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pain (F=4.35, p=.05) and in depression (F=4.22, p=.05) However,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on functional disability (F=.04, p=.84) were found. Conclusively, the arthritis health promotion program, which was designed to enhance 11 health promoting skills, can be evaluated as successfully achieving the ultimate goal of enhancing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It can also be contende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was enabled by relieving pain and reducing depression.

본 연구는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된 관절염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통증, 우울, 활동장애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자 수행되었다. 유사실험 설계를 적용하여 1998년 11월 11일부터 12월 24일까지 인천시에 위치한 일개 대학병원의 류머티스 내과 외래에서 류머티스 관절염이라는 진단을 받고 통원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 중 중재에 참여한 실험 군 18명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 군 18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중재는 건강증진적 기술 향상을 목표로 개발된 7주간 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CHPPRA)이었으며 프로그램 제공 후 CHPPRA가 통증, 우울, 활동장애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프로그램에 참여 후 이들 변수들에 대한 집단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Hotelling's T =.30, F=3.11, p=.04). 어떤 변수가 이러한 차이를 나타내었는지를 ANOVA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우울과 통증은 집단간 차이를 나타내는데 유의한 변수였으나 (F=4.22, p=.05; F=4.35, p=.05 순) 활동 장애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F=.04, p=.84).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11가지 건강증진 기술 향상을 위해 7주간 제공된 본 건강증진 프로그램은 통증, 우울, 그리고 활동장애 등으로 대변되는 대상자의 삶의 질에 전체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는데 특히 통증과 우울을 감소시킴으로써 대상자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