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Weed Control and Lodging Reduction for Increase the Grain Yield of Buckwheat

메밀증수를 위한 잡초방제 및 도복경감 효과

  • Heo, Kwon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Han-Bum (Kyonggi Provincial Agricultural Technology Administration) ;
  • Park, Chul-Ho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oi, Yong-Soon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허권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이한범 (경기도 농업기술원) ;
  • 박철호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최용순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Published : 2000.10.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weed control and lodging reduction in the cultivation of buckwheat. The effect of weed control was significant. In the herbicide plot, nevertheless, grain yield and plant height were more decreased than habitual and vinyl mulching plots.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herbicide was considered unnecessary in buckwheat cultivation having short growth period. In the habitual plot, dominant weed species are Digitaria sanguinalis, Erigeron annuus, E. canadensis, Setaria viridis, and Stellaria alsine var. undulata. On the effect of plant dwarf agent, C.C.C. and TIBA, plant height became shorter than habitual plot but the grain yield decreased. The latter tip pinching time, the less in grain yield which indicate tip pinching is ineffective in grain yield and lodging reduction. Among the wild species and cultivars of Fagopyrum, F. urophyllum was differentiated into xylem and phloem tissues indicating woody plant. Stem hardness of this species was the hardest as 625,110,000 dyne/cm$^2$which is at least 3.5 times harder than F. esculentum cv. Suwon #12. Therefore, it needs that the woody habitat gene of F. urophyllum is transfered into other cultivars in buckwheat breeding strategy.

메밀의 수량 증대방안의 일환으로 내도복성 및 잡초방제 효과에 대하여 초장 및 수량을 비교 분석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식물왜화제인 C.C.C. 및 TIBA의 왜화효과는 있었으나 수량에 있어서는 이들 두처리구 모두 관행구보다 낮았으므로 왜화를 통한 도복경감과 수량증대 효과는 없었다. 2. 적심의 효과는 3엽기, 5엽기, 7엽기 적심에서 초장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적심시기가 늦으면 늦을수록 수량은 현저한 감소를 초래했다. 3. 도복방지를 위한 지지망 설치구에서는 관행 구보다 약간 수량이 증가하였으나(4kg/10a)실제 농가에서는 적용하기 어렵다고 판단되었다. 4. 메밀 파종 후 2일째에 라쏘 유제를 살포한 결과 방제효과는 뛰어 났으나 초장이 잘 신장하지 못하며 수량도 관행구보다 낮았다. 따라서 메밀 재배에는 제초제의 필요성이 없다고 하겠다. 관행구에서의 잡초발생은 주로 강아지풀, 바랭이, 망초, 개망초, 벼룩 나물 종이 우점 하였다. 5 메밀종 각각의 줄기 경도를 측정한 결과 Fagopyrum urophyllum의 경도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F. urophyllum의 유전자를 재배품종에 도입하는 육종연구가 요망된다.

Keywords

References

  1. Evolution of Crop Plants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Polygonacese) Campbell, C. G.;Smartt, J.(ed.);Simmonds, N. W.(ed.)
  2. 한국작물학회지 v.37 no.1 메밀채소의 생산성 및 채소적 가치 최병한;박근용;박래경
  3. 한국작물학회지 v.37 no.2 여름메밀의 춘파재배법 연구 최병한;박근용;박래경
  4. 한국육종학회지 v.28 no.1 메밀 유전자원의 파종기에 대한 반응에 따른 생태형 분류 최병한;박근용;박래경
  5. 한국작물학회지 v.41(별호) 메밀의 rutin 및 기능성 물질의 종류와 변이 최병한;김선림;김성국
  6. Peoples of Nepal Himalayan. Fauna and Flora Res. Soc. Transmittance of cultivated plants through Sino-Himalayan route Nakao, S.;H. Kihara(ed.)
  7. Fagopyrum v.11 Discovery of the wild ancestor of common buckwheat Ohnishi, O.
  8. Genes Genet. Syst. v.71 Search for the wild ancestor of buckwheat Ⅱ. Taxonomy of Fagopyrum(Polygonaceae) species based on morphology, isozymes and cpDNA variability Ohnisi, O.;Matsuoka, Y.
  9. Fagopyrum v.79 In The World of Plants Ono, T.
  10.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v.11 no.2 메밀의 파종기 및 재식밀도에 따른 생장해석 박철호 등
  11. Genet. Syst. v.71 Comparative study of rbcL gene sequences in Fagopyrum and related taxa Yasui, Y.;Ohnishi,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