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Taxonomic study of the Ophelia D. Don(Gentianaceae) in Korea -Anatomical and ultrastructure-

한국산 용담과 쓴풀속(Ophelia) 식물의 분류 2. 해부학적형질 및 미세구조

  • Published : 2000.03.01

Abstract

Anatomical characters such as stem, leaf, ovary, calyx lobe, ultrastructure of stigma, epidermis of leaf blade and midvein, corolla lobe, nectary, seed coat and pollen were examined on 6 taxa of Korean Ophelia, including 5 taxa distributed in south Korea and one taxon considered to be the variation type of Ophelia wilfordi, in order to clarify the limits of intersection and interspecies and to establish the taxonomic position. One taxon distributed in north Korea was also included in the description of species by observation of herbarium specimen of the University of Tokyo in Japan. The two sections were successfully distinguished by internal structure of ovary, morphology of nectary, surface sculpturing of corolla lobe and pollen, ultrastructure of seed and seed coat, which were useful characters to distinguish taxa higher than species. The variation type of Ophelia wilfordi was not distinguished with other species except for absent or present of purple spot in corolla lobe.

한국산 쓴풀속(용담과) 식물 중 남한에 분포하는 5분류군과 변이체라 생각되는 1분류군, 총 6분류군에 대하여 줄기, 잎, 자방, 악, 자방의 횡단면, 주두, 잎표피, 주맥표면, 화관열편 표면, 밀선, 종피와 화분의 해부학적 형질과 미세구조를 조사하여 절과 종간의 한계를 분명히 하여 종 동정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분류학적 위치를 설정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북한에 분포하는 1분류군은 동경대학의 소장품을 관찰하여 분류군의 기재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자방의 내부구조, 밀선의 형태, 화관열편 표면의 미세구조 그리고 화분 표면의 무의 등에 의해 2개의 절로 구분되었고 밀선과 종피의 미세구조에 의해 종간의 구분이 가능하였으며, 이 형질들은 쓴풀속의 분류군들을 구별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형질로 밝혀졌다. 변이체라고 생각되었던 큰잎쓴풀(화관 열편에 자색 점무늬를 갖는 분류군)A형은 자색 점 이외의 형질들에서는 전혀 차이를 찾아볼 수 없어 모종의 변이 폭에 넣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ngiosperms Pollen morphology and plant taxonomy Erdtman, G.
  2. Pollen Morphology and Plant Taxonomy. Angiosperms Erdtman, G.
  3. Textbook of Pollen Analysis Faegri, K.;J. Iversen
  4. Flora Unionis Rerumpublicarum Socialisticarum Sovieticarum v.18 Gentianaceae Grossheim A.A.;Schischkin(ed.)Bobrov(ed.)
  5. J. Kor. Fores. Soc. v.40 Contribution to the pollen morphology and taxonomy of Korean Gymnosperms on the generic level Kim, K.H.;S. Lee
  6. Kor. J. Pl. Tax. v.8 Phylogenetic significance of pollen morphology Lee, S.
  7. Species plantarum (ed.1) 1, Holmiae Linnaeus, C.
  8. Bull. Sci. Mus. Tokyo v.31 A synoptical sketch of korean flora Nakai, T.
  9. Grana Palynol. v.7 Pollen morphological studies in the Gentianaceae-Gentianae Nilsson, S.
  10. Act. Hort. Petrop. v.19 Conspectus Florae KoreaeⅡ Palibin, J. W.
  11. J. Jap. Bot. v.20 Species Swertiae nipponenses Satake, Y.
  12. J. Jap. Bot. v.21 Species Swertiae nipponenses (continuatio) Satake, Y.
  13. Jour. Fac. Sci. Hokkaido Univ. Ser. 5(Bot) v.7 no.4 Conspectus Gentianacearum japonicarum Toyokuni, H.
  14. 우리나라 식물명감 박만규
  15. 한국식물명감 안학수;이춘녕
  16. 식물편 (계절식물) v.18 한국동식물도감 이영노
  17. 관악수목원 연구보고 (1) 이창복
  18.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 한국식물도감 하권 (초목부) v.하 정태현
  20. 식물편 (목초목류) v.5 한국동식물도감 정태현
  21. 식물편 (목초목류) 보유 v.5 한국동식물도감 정태현
  2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도봉섭;심학진
  2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도봉섭;이덕봉;이민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