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ed Intake and Digestibility in Korean Native Goats Fed Fermented Domestic Agricultural By-Products

국내산 농산부산물 발효사료를 급여한 재래산양의 사료섭취량 및 소화율

  • 안종호 (한경대학교 낙농과학과) ;
  • 유황종 (한경대학교 낙농과학과) ;
  • 김현진 (한경대학교 낙농과학과) ;
  • 조익환 (대구대학교 생명자원학부) ;
  • 이주삼 (연세대학교 생물자원공학과)
  • Published : 2000.12.01

Abstract

In this study, by-products of rice bran, rice hull, bean curd dregs and food waste were fermented with different ratios of 26, 26, 34 and 14% respectively and the experimental diets were prepared mixing it with various ratios of commercial diets (fermented feed commercial feed : A 80 : 20, B 70 : 30, C 60 : 40, D 50:50). In Experiment I, feed intake, nutrients digestibilities and nitrogen retention were investigated and body weight gain in Experiment 1. For chemical composition of experimental diets, crude protein contents were 13.73, 13.78, 14.45 and 15.14% in A, B, C and D respectively and the contents of crude fat and crude fiber were highest in A as 8.66 and 27.82% respectively. 2. Dry hurler intake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A(362.06g/d) and C(358.49g/d) than B and D. Intakes of crude protein and crude fa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mong treatments however those of crude fiber and crude ash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A(101.47g/d). 3. Dry matter digestibilities in the range of 53.38∼68.81% in all treatments have shown the highest value in C of 60% fermented feed plus 40% commercial diet but the lowest in A of 80% of fermented feed plus 20% commercial diet (P<0.05). 59.85% of digestibility of crude protein in A was also lowest among all treatments (p<0.05), 4. 8.47g/d of nitrogen intake in C was recorded highest (P<0.05) however the highest nitrogen retention was marked in B of 50% fermented feed plus 50% of commercial diet due mainly to lower excretion of nitrogen through feces. 5. The data of live weight gain in Experiment II has not been shown as a result since the proper daily gain of body weight was achieved only in D as 88.89g/d and the goats in other treatments have shown frequent diarrhea. However, neglecting the animals with diarrhea, higher amounts of concentrates in the diets (C and D) showed the tendency of higher weight gain. 6. In this study, feeding 60% fermented feed manufactured with domestic agricultural by-products of rice bran, rice hull, bean curd dregs and food waste to Korean native goats have shown satisfactory results of intake and digestibility and it indicates that utilization of domestic agricultural by-products in goats could be improved by the process of fermentation. However it's effects on body weight gain and nitrogen retention were below than expected. Different sources of feedstuff for fermentation may result in different performances of animals. However, to draw overall conclusion from this study, 50∼60% of fermented feed can be recommended in the case of mixing with concentrates.

본 시험에서는 왕겨, 쌀겨, 비지, 잔반을 원료로 하여 각각 26, 26, 34, 14%를 혼합하여 발효시켜 농후사료와 급여비율을 달리하여 재래산양에게 급여하였다. 시험사료는 4종으로 각 사료별 발효사료:농후사료 배합비율은 A 80 : 20, B 70 : 30, C 50 : 40 및 D 50 : 50%로 하여 처리구별로 급여하였다. 발효사료를 이용한 재래산양의 사료 섭취량,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재래산양의 증체 시험을 45일간 실시하여 재래산양 사료로서의 농산부산물 발효사료 가치를 조사하였다. 1. 본 실험사료의 화학적 성분으로는 조단백질 함량이 A, B, C 및 D구에서 각각 13.73, 13.78, 14.45, 15,14%이었으며 조지방과 조섬유 함량은 A구에서 각각 8.66 및 27.82%로 전 처리구중 가장 높았다. 2. 처리수준별 건물사료 섭취량은 362.06∼329.12g/d로서 A구(발효사료 : 배합사료, 80 : 20)와 C구(발효사료 : 배합사료, 60 :40)에서 각각 362.06 및 358.49g/d로서 B구(329.12g/d)와 D구(349.72g/d)에 비하여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5). 영양소별 섭취량으로 조단백질 및 조지방은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으나(P>0.05), 조섬유 섭취량은 A구가 101.47g/d로 B, C 및 D구보다 현저히 높아 유의차를 보였고(P<0.05), 조회분 섭취량도 A구가 28.51g/d로 B, C 및 D구보다 현저히 높았다(P<0.05). 3. 처리구간 건물소화율은 68.81∼53.58%수준으로 발효사료가 60%함유된 사료를 급여한 C구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발효사료 함유율이 80%인 A구에서 가장 낮았다 (P<0.05), 조단백질 소화율도 A구에서 59.85%로 B, C 및 B구보다 현저히 낮아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5). 그러나 조지방의 소화율은 처리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섬유 소화율은 A구와 C구에서 각각 56.82%와 58.54%를 나타내어 발효사료 함유량이 높아도 조섬유 소화율이 저하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질소 섭취량은 8.47∼7.22g/d로서 C구에서 8.47g/d로 가장 높았으나 질소 축적율은 D구에서 32.7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D구는 배합사료 급여 비율이 50%로 처리구중 조단백질 함량이 제일 높았고 분 질소 배설량이 적어 질소 축적율이 향상되었다고 P<0.05) 사료된다. 뇨 질소 배설량은 3.43∼5.91g/d로 전 처리구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5. 증체 시험 결과를 보면 사료 섭취량은 752.22∼788.20g으로 처리구간 비슷하였으나, 일당 증체량은 발효사료1배합사료 비율이 50 : 50%인 D구에서 88.89g/d으로 가장 높았고, A, B, C구는 체중이 감소하거나 증체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개체별로 일부 설사에 의한 체중감소 현상이 일어났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설사를 하지 않은 정상적인 것들만 비교하여 볼 때, 증체량은 배합사료 급여 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뚜렷이 보여 주었다(C : 71.11, D : 88.89g/d). 6. 왕겨, 쌀겨, 비지, 남은 음식물 등을 이용한 발효사료를 배합사료와 함께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재래산양에게 급여하였을 때, 사료 섭취량과 소화율은 발효사료 60%, 배합사료 40%를 급여하였을 때 가장 높게 나타나 농산 부산물을 발효시킴으로써 기호성 및 소화율이 향상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발효사료는 배합사료만큼은 체내 이용성이 뛰어나지 못하여 배합사료 50%로 배합사료 혼합 비율을 높인 구보다는 증체량이 떨어졌고 질소 축적율도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재래산양에서 배합사료와 함께 급여하는 발효사료의 적정 급여 비율을 50∼60% 정도로 할 때 사료의 이용 효율이 양호할 것으로 사료되나 여름철과 같은 고온 시기에는 변질리 가능성이 있어 설사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