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Structure, Productivity, and Nutrient Uptake of the Vascular Plants in the Wetlands of the Asan-Lake

아산호 습지에서 관속식물의 군집 구조와 생산성 및 영양염류의 흡수

  • Kim, Cheol-Soo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and Research Institut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Son, Sung-Gon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and Research Institut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Lee, Jeong-Hwan (Department of Forestry, Chinju National University) ;
  • Oh, Kyung-Hwan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and Research Institut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김철수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및 환경보존연구소) ;
  • 손성곤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및 환경보존연구소) ;
  • 이정환 (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오경환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및 환경보존연구소)
  • Published : 2000.06.01

Abstract

The flora, distribution area, vegetation structure, annual net primary production, and nutrient uptake of the vascular hydrophytes, hygrophytes and mesophytes were investigated in the wetlands of the Asan-Lake, Chungchongnam-do and Kyonggi-do, Korea from March to October in 1997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lant community and the lake environment. The flora was composed of 38 families, 89 genera, 106 species, 14 varieties or total 120 kinds of the vascular plants. The life from of the hydrophytes were classified as 14 kinds of emergent plants, 5 kinds of submerged plants, and 4 kinds of free-floating plants, respectively. The number of species was various to 4 ∼85 kinds in each site. The dominant species was Zizania latifolia, and the importance values of Zizania latifolia, Typha orientalis, Phragmites communis, and Spirodela polyrhiza were 39.58, 14.90, 13.97, and 7.64,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area of the emergent hydrophytes, hygrophytes, and mesophytes was 49.3 ㏊ (90.5%), and free-floating plants was 5.2 ㏊ (9.5%), whereas the floating-leaved and submersed plants were rare. Annual net production of the emergent hydrophytes, hygrophytes, and mesophytes was 547.9 ton D.W./yr (98%), and those of the free-floating plants was 10.5 ton D.W./yr (2%), and 558.4 ton D.W./yr in the whole lake ecosystem. The total uptake of nitrogen and phosphorus by the vascular plants was 7,099 and 1,891 ㎏/yr in the whole lake ecosystem.

아산호 연안대의 습지에서 식물군락과 호소 환경과의 상호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1997년 3월부터 1997년 10월까지 수생식물, 습생식물 및 중생식물의 종조성, 분포 면적, 식생 구조, 현존량, 식물체에 의한 영양염류 흡수 등을 조사하였다. 관속식물은 38과 89속 106종 14변종으로 총 120종류가 분포하였는데, 그 중 수생식물은 정수식물 14종류, 침수식물 5종류, 부수식물 4종류 등 23종류가 출현하였고, 습생식물 및 중생식물은 97종류였다. 조사 지소별 분포 종수는 4∼85종류로 조사지소별로 차이가 많았다. 우점종은 줄(Zizania latifolia)이었으며, 부들(Typha orientalis), 갈대(Phragmites communis), 개구리밥(Spirodela polyrhiza) 등의 순으로 중요치가 낮아졌다. 정수식물, 습생식물 및 중생식물의 분포 면적은 49.3 ㏊(90.5%)이고 부수식물이 5.2 ㏊(9.5%)이며, 부엽식물 및 침수식물은 분포 면적이 매우 적었다. 생활형별 연순생산량은 정수식물, 습생식물 및 중생식물이 547.9 ton D.W./yr, 그리고 부수식물이 10.5 ton D.W./yr로서 이들의 비율은 98: 2이며, 호소 전체의 연순생산량은 558.4 ton D.W./yr에 달한다. 아산호 전체에서 관속식물에 의한 질소 및 인의 연간 흡수량은 각각 7,099kg 및1,891 kg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연보 기상청
  2. 수도권 상수도원인 팔당호의 수생관속식물에 의한 수질의 정화 김준호;조강현
  3. 한국의 간척 농어촌진흥공사
  4.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낙동강 하구의 사주식생 천이에 관한 연구 문형태
  5. 충남대 환경연구소보 v.2 수질오염 지표종으로서의 담수조류에 관한 연구 박종성;최신석;신창남;금종화
  6. 한생태지 v.5 경산 남천수계의 생물학적 수질판정 서영희;박상옥
  7.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정양호 생태계에 있어서 수생관속식물의 군집구조와 생산성 및 영양염류의 순환 오경환
  8. 경상대 기초과학연구소보 v.6 수생관속식물이 호소생태계의 부영양화에 미치는 영향 오경환
  9. 한국산 사초과식물 Ⅰ~Ⅲ 오용자
  10.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묵밭의 초기천이에 있어서 토양의 성질, 종다양성 및 r-K 선택의 변화 옥영호
  11. 한육수지 v.17 서귀포시내 하천의 수서곤충군집에 관한 연구 윤일병;강옥철;변종옥
  12. 한육수지 v.26 수생관속식물 군란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이영옥
  13. 목포대 연안생물연구 v.4 영산호의 미생물 분포와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 이오형;송태곤
  14.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5. 경상대 과교연보 v.15 함안지역 자연늪의 식생구조와 환경요인 이팔홍;김철수;오경환
  16. 자연보존 v.65 우리나라 자연늪의 현황과 보호 정영호
  17. 환경생물학회지 v.5 함안 소재 자연늪의 수생관속식물상 정영호;최홍근
  18.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팔당호에서 대형수생식물에 의한 물질생산과 질소와 인의 순환 조강현
  19. 한육수지 v.11 춘천시 도시하수에 의한 의암호의 수질오염에 대한 생물학적 조사 및 정화 방안에 관한 연구 조규송;조동현;윤경민
  20. 자연보존연구보고서 v.1 수질판정을 위한 지표담수어에 관한 연구 최기철;전상린
  21. 자연보존연구보고서 v.3 수질오염 지표종으로서의 담수산 이매패류에 관하여 최신석;강태완;신창남;오경환
  22.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한국산 수생관속식물지 최홍근
  23. Chemical analysis of ecological materials Allen H.L.;H.M. Grimshaw;J.A. Parkinson;C. Quarmby.
  24. Plant sociology: The study of plant communities (Translated by G.D. Fuller and H.S. Conard, 1965) Braun-Blanquet J.
  25. Yanez-Arancibia, Estuarine Ecology Day J.W.;C.A.S. Hail;W.M. Kemp.
  26. A manual of aquatic plants Fasset N.C.
  27. Limnology Goldman C. R.;A.J. Home
  28. Pond Littoral Ecosystems;Structure and Functioning Management aspects of fishpond drainage Hejny S.;D. Dykyjova(ed.);J. Kvet(ed.)
  29. Schadstoff bleatung und Okosystemschutz in aquatischem Bereich Limnologische Untersuchungen zur Bedeutung der Makrophyten fur die Selbstreinigung filebender Gewasser Kucklentz V.
  30. Schadstoff-belastung und Okosystem schutz in aquatischem Bereich Indikatorwert und Okologie makrophytischer Wasserpflanzen in Bayerischen File β - and stillgewassern Melzer A.
  31. Aqa. Bot. v.6 Effectiveness of submersed angiosperm-epiphyte complexes on exchange of nutrient and organic carbon in littoral system: refractory organic carbon Mickle A.M.;R.G. Wetzel
  32. Freshwater Wetland: Ecological Process and Management Potential Nutrient dynamics of narthern wetland ecosystems Richardson C.J.;D.L. Tilton;J.A. Kadlec;J.P.M. Chamie;W.A. Wentz;R. E. Good(ed.)
  33. Proceedings of the four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eutrophication and conservation of water resources Effect of aquatic macrophytes on the control of organic pollution and eutrophication of inland waters Sakurai Y.
  34. The biology of aquatic vascular plants Sculthorpe C.D.
  35. Jap. J. Ecol v.33 Biomass and net primary production of a floating leaved plant, Trapa natus, community in lake Kasumigaura Tsuchiya T.;H. lwaki.
  36. UNESCO/WHO Water quality surveys UNESCO
  37. Vegetation of the earth Walter H.
  38. Limnology Wetzel 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