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ssessment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the Onsan Bay Using Biological Indicators

생물지표종을 이용한 온산만의 중금속 오염도 평가

  • 한수정 (이화여자대학교 생물과학과) ;
  • 이인숙 (이화여자대학교 생물과학과)
  • Published : 2000.02.01

Abstract

Concentrations of cadmium, copper and zinc were determined in three molluscan species including Sacculosiphonaria japonica, Reishia clavigera and Crassostrea gigas to assess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the Onsan Bay. The range of cadmium concentrations were 3.83∼39.67 ㎍/g d.w. in S. japonica, 7.47∼103.47 ㎍/g d.w. in R. clavigera, 1.32∼92.17 ㎍/g d.w. in C. gigas. Concentration of cadmium at contaminated site in C. gigas was 70 folds higher than that of reference site. The range of copper concentrations were 22.92∼1287.56 ㎍/g d.w. in S. japonica, 37.53∼656.97 ㎍/g d.w. in R. clavigera, 161.50∼3208.52 ㎍/g d.w. in C. gigas. The concentration of copper at contaminated site in S. japonica was 56 folds higher than that of reference site. The range of zinc concentrations were 93.48∼377.40 ㎍/g d.w. in S. japonica, 423.65∼1075.57 ㎍/g w. in R. clavigera, 2018.13∼22275.00 ㎍/g d.w. in C. gigas. The difference of zinc concentrations between reference site and contaminated site was relatively small than those of cadmium and copper in all the species tested. The largest difference was 11 folds in C. gigas. In the present work, we confirmed that all of these species, S. japonica, R. clavigera and C. gigas, could be used as biological indicators to monitor heavy metal contamination.

온산만의 중금속 오염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고랑딱개비(Sacculosiphonaria japonica), 대수리 (Reishia clavigera), 참굴(Crassostrea gigas) 등 3종의 연체동물을 선정하여 체내의 카드뮴 구리, 아연의 농도를 분석 하였다. 카드뮴의 농도는 고랑딱개비는 3.83∼∼ 39.67 ㎍/g d.w., 대수리는 7.47∼103.47 ㎍/g d.w., 참굴은 1.32∼92.17 ㎍/g d.w.의 농도범위를 나타냈다. 굴에서의 카드뮴의 농도는 대조구보다 오염구에서 70배 더 높게 나타났다. 구리의 농도는 고랑딱개비 는 22.92∼ 1287.56 ㎍/g d.w., 대수리는 34.53 ∼656.97 ㎍g/g d.w., 참굴은 161.50∼3208.52 ㎍/g d.w.의 농도범위를 나타냈다. 이 중 고랑딱개비에서 오염구와 대조구의 구리농도 차이가 약 56배로 다른 종보다 그 차이를 크게 반영하였다. 아연의 경우는, 고랑딱개비는 93.48∼377.40 ㎍/g d.w., 대수리는 423.65∼1075.57 ㎍/g d.w., 참굴은 2018.13∼22275.00 ㎍/g d.w.의 농도 범위를 나타냈다. 오염구와 대조구에서의 아연농도의 차이는 카드뮴과 구리보다 적게 나타났으며, 참굴이 약 11배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고랑딱개비, 대수리, 참굴 모두 중금속 오염의 지표종으로 사 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