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선호에 따른 유아의 성별 차별사망력: 중국의 조선족, 한족과 다이족의 비교분석

Sex Preference and Sex Differentials in Child Mortality: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s, Hans and Dais in China

  • 발행 : 2000.01.01

초록

이 연구는 상이한 성선호의 문화적 전통을 지닌 인종집단들을 대상으로 하여 의료수준과 유아사망력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1990년 중국인구센서스 중에서 연변자치 주에 거주하는 조선족과 한족 그리고 서쌍판납자치주의 한족과 다이족의 원자료를 활용하였다. 이 논문은 성선호, 사회경제적 수준, 의료수준과 유아의 성별 차별사망력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의료인력이 널리 가용한 지역사회에서는 유아사망력의 수준이 성선호에 의하여 영향받을 가능성이 낮다. 그러나 지역사회의 의료수준이 낮으면, 특정한 성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한 인종집단의 구성원들은 선호하는 성의 자녀들의 생존을 위하여 모든 노력을 기울이게 될 것이다. 이에 반해서 부모들이 선호하지 않는 성의 자녀생존을 위한 행위들은 이에 수 반되는 비용이나 여러 가지 조건들에 의하여 영향을 받게될 것이다. 따라서 선호하는 성의 유아사망력의 수준은 선호하지 않는 성의 그것에 비해 월등히 낮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사회경제적 발전과정에서 의료수준이 향상되고 이에 수반되는 비용이 낮아지면, 선호하지 않는 성의 유아사망력은 급격히 감소하고 성별 사망력의 차이는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이 연구에서 강한 남아선호관을 지닌 조선족 및 한족과, 반대로 여아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한 다이족의 유아사망력을 분석한 결과는 이러한 명제들을 뒷받침 해준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relation between health care availability and child mortality among ethnic groups with different cultural traditions of sex preference. Micro-data from the 1990 Census of China for Yanbian and Xishuangbanna Prefectures are used. Based on the analysis of data for Koreans, Hans, and Dais in these prefectures, a new model explaining the relation between sex preference, health care. and differentials in child mortality is proposed in this paper. In societies, where health care is easily available, the level of child mortality is not likely to be a function of sex preference. In societies where there is little availability of health care, members of ethnic groups with strong sex preference do whatever possible to assure survival of their children of the preferred sex. But actions to assure survival of children of the sex not preferred by their parents depend on the costs involved and other considerations. Therefore, the level of child mortality for the preferred sex is likely to be substantially lower than that of the not-preferred sex. However, as availability of health care improves and the cost of obtaining health care becomes lower, survival of children of the not-preferred sex are likely to improve. It is generally agreed that Koreans and Hans show strong son preference, while Dais have cultural traditions of daughter preference. In Yanbian, where virtually all children receive health care whenever it is needed, Korean females and Han females show lower child mortality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although the difference is not found to be significant for Koreans. In Xishuangbanna, where there is little availability of health care, Dai males show markedly higher child mortality than Dai females, and Han females have higher child mortality than Han males. However, small improvements in the availability of health care in Xishuangbanna translate into substantial improvements in survival of male children for Dais, and survival of female children for Han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