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house' and how it is ecologically applied from a natural aspect

자연성에 근거한 전통주거건축의 생태학적 특성과 적용에 관한 연구

  • 한경희 (신흥대학 실내디자인과) ;
  • 김자경 (계원조형예술대학 가구디자인과 겸임전임강사)
  • Published : 2000.12.01

Abstract

The concept of the true house' is based on the balance of a person's life and nature and represents the life in which lies an organic harmony between environment and ecology. However, humans have always been in a position of dominance over nature and with their developments have brought on much destruction and corruption to the ecosystem. With this, the position of the true house has intensified and the ecological approach of architecture has started to come into consideration as its alternative plan. Accordingly, it is essential to reconstruct and take on a new perspective of nature. The conversion to a more Oriental approach, which dwells in the adaptation and harmony of nature, is especially sufficient to the ecological aspect of architecture. From this we can realize that the ecological approach is none other than a modern interpretation of what our ancestors have lived by. In other words, an architectural concept deriving from the adaptation of climate, season, and nature-the coexistence of man and nature. From an ecological point of view, the idea of favoring nature in the traditional house can be found in the inclination of being one with nature by adapting to its geographical and preferable climate conditions. This results in the use of natural energy, the use of natural resources, the organic connection between the inner and outer natural space, and the application of nature itself. By approaching these elements from a modern point of view and applying it to the current time, we can open up the door to a more lasting human-environment based ecological position of architecture where our own climatic characteristics and traditions can be reflected in the pursuit of harmony between man and nature.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의 기후와 문화 김연옥
  2. 한국인의 기질과 성향을 통해 본 한국미의 이해 김영기
  3. 문화 환경 보건 건축 김홍식(외)
  4. 우리 옛 건축에 담긴 표정들 류경수
  5. 우리 옛 건축과 서양 건축과의 만남 임석재
  6. 자연환경 건축디자인 전채휘
  7. 한국 주택 건축 주남철
  8. 한국의 자연관 최광렬
  9. Green Architecture Brenda;Robert Vale
  10. Architecture Bio-ecologique M.Corrado et IIDEA Mediterranea
  11. The Green Imperative Victor papanek
  12. 한국 전통공간에 나타난 생태학적 특성과 공간디자인에의 적용에 관한 연구 공미연
  13. 이대 디자인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한국 전통공간의 생태학적 특성을 적용한 환경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소영
  14. 전통주거공간의 시지각 현상에 관한 연구 김영희
  15. 생태학적 관점의 생태학적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오영은
  16. 대한건축학회지 v.14 no.2 환경친화적 건축의 개념정의와 건축적 목표의 구체화를 위한 연구 김현수;안태경;변혜선
  17. 대한 건축학회 논문집 no.17 건축적 사고로서의 음양개념의 분석 이강훈
  18. 연세 논총 한국민가의 자연형 설계원리 및 기법에 관한 연구 이경희
  19. 대한건축학회지 v.23;5 no.86;1 자연관이 건축공간에 미치는 영향 윤홍택
  20. 대한 건축학회 논문집 no.57 자연중심건축계획방법의 기초적 연구 한필원
  21. 공간 한국 도시주거의 문화 생태학적 재고 고주석
  22. Interiors 생태학적 세계관과 새로운 디자인 패러다임 권영걸
  23. 건축 환경친화적 건축의 계획과 설계 김수암
  24. 건축 전통건축과 생활문화의 생태학적 의미 김홍식
  25. 건축 우리나라 전통주거의 환경공학적 특성 손장렬;안병욱
  26. 건축 v.22 no.85 풍수지리의 국면이 갖는 건축적 상상력에 관한 고찰 장성준
  27. 건축 자연환경 조절측면에서 본 한국전통주거의 환경특성 이경희
  28. 플러스 생태건축시스템 최연숙
  29. 사상과 정책 v.3 한국의 전통적 자연관과 인간관 최창조
  30. Plus 환경건축과 건축재료 최율
  31. 월간인테리어 v.137 생태학과 실내건축 최현수
  32. Plus 자연과 인간의 관계-생태건축(Ⅰ),(Ⅱ),(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