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bifermentans DPH-1 균주로부터 정제한 테트라클로로에틸렌 (PCE) 분해효소의 제성질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Tetrachloroethylene (PCE) Dehalogenase from Clostridium bifermentans DPH-1

  • 장용철 (일본국립기후대학 생물자원이용학과) ;
  • 정권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 유영식 (서울보건대학 환경공학과) ;
  • 김민영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 신재영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Chang, Young-Cheol (Dept. of Bioprocessing. Faculty of Agriculture, Gifu University) ;
  • Jeong, Kweo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
  • Yoo, Young-Sik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Seoul Health College) ;
  • Kim, Min-Youn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
  • Shin, Jae-Youn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 발행 : 2000.06.01

초록

DEAE-Toyopearl 650S, Superdex pg-75, Poros HQ, Superdex H200의 각종 칼러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C.bifermentans DPH-1균주로부터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 분해 효소를 정제했다. 이 PCE 분해효소 (PCE dehalogenase)는 PCE를 환원적 탈염소화 반응에 의해 시스디클로로에딜렌 (cis-1,2-dichloroethylene)에 전환 가능하여, 이 때의 Vmax 및 Km 치는 각각 73 nmol/h.mg protein, 12$\mu$M이었다. 본 PCE dehalogenase의 겔여과 분자량 Maker Kit를 이용한 분석결과(70kDa)는 SDS-PAGE에 나타난 분자량(35kDa)의 약 2배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효소는 분자량 70kDa의 이량체(Homo dimer)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효소의 최적온도 및 pH는 각각 35$^{\circ}C$ 및 8.0 이었다. 또한 본 효소는 PCE외의 트리클로로에틸렌, 디클로로에틸렌 이성체, 1,2-디클로로에템, 1,2-디클로로프로판, 1,1,2-트리클로로에탄에 대하여도 활성을 타나내었다. N-말단 아미노산 분석결과에서도 본 효소는 현재 알려진 PCE dehalogenase와 그 배열이 전혀 다른 것으로 나타나 각종 유기염소 화합물의 분해능을 보유한 신종의 PCE 분해효소인 것이 확인되었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