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itcs of Hail Occurred in the Korea Peninsular

우리 나라 우박 발생일의 특성

  • 임은하 (기상연구소 수문기상연구실) ;
  • 정영선 (기상연구소 수문기상연구실) ;
  • 남재철 (기상연구소 수문기상연구실)
  • Published : 2000.04.01

Abstract

Characteristics of hail occurred during 1989-1998 is studied. Hail is observed mainly at west coast, southwest inland, and Taegwallyong. Average diameter of hailstone is 0.6 cm, and 70% of the occurrence frequency of hail is observed at west coast. During winter and spring, the wet -bulb zero height (WBZ) is low enough to prevent the melting process of hail. But the lack of available low-level moisture (mean mixing ratio in lowest 100 hPa) makes the size of hail small. As a result, smaller size hail is observed frequently over west coast. On the contrary, WBZ is higher during summer, it means that hail is melted before it reaches ground, but the size of hail is bigger. Thus the larger hail is observed mainly Taegwallyong during summer. Hail is observed from 1100 LST to 1500 LST over west coast and around 1800 LST over Taegwallyong. It suggest that thermally driven mesoscale circulations such as land-sea breeze and mountain ridge-valley circulation aid in the formation of hail. Upper and surface air temperature is related to formation of hailstorm. Before formation of hailstorm in November 1998, the upper air temperature decreases. And hails is observed in the spot of strong temperature and dew point temperature gradient coincidently.

1989년부터 1998년 우리 나라에서 관측된 우박 발생일의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우박은 주로 서해안(약 70%), 남부 내륙 지방, 대관령 부근에서 관측된다. 평균 크기는 약 0.6 cm 이며 계절적 차이를 보인다. 겨울에는 봄 동안은 녹는 고도가 낮아 낙하 경로가 짧지만 대기 하층의 가용 습기도 적어 우박 크기가 작다. 그 결과 이 기간동안 작은 크기의 우박이 서해안에서 자주 관측된다. 반대로 여름철은 대기 하층의 가용 습기가 많아 우박이 크게 성장하기는 하지만 녹는 고도도 높아 지표에서는 우박이 아닌 강수로 관측되기 쉽다. 따라서 여름철에는 큰 우박 입자들이 대관령 등과 같은 높은 산악에서 주로 관측된다. 우박은 서해안에서는 1100 LST와 1500 LST 사이에 주로 관측되며, 대관령 부근에서는 1800 LST에 관측된다. 그 이유는 해륙풍과 산곡풍과 같은 중규모 순환이 우박을 동반하는 뇌우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우박이 발생전의 종관 기상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1998년 11월 우박 사례를 분석한 결과 850 hPa부터 500 hPa 까지의 기온이 모두 하강하였으며, 지상 기온과 이슬점 온도의 경도가 모두 큰 곳에서 우박이 발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청 (1993). 기상재해자료. 기상청, pp.62-133
  2. 김현숙 (1993). 우리 나라 우박 현상에 관하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pp.1-47
  3. 변희룡, 임장호, 임미현 (1996). '여름철 우박 재해의 발생과 연관된 대기 순환', 한국기상학회지, 제32권, 제2호, pp.189-210
  4. 신동빈, 이태영 (1989). '남한 지역에서 여름철 지상풍의 평균적 구조', 한국기상학회지, 제25권, 제1호, pp.30-42
  5. 이춘식 (1993). '우리 나라 우박 통계 자료 및 사례 분석', 예보기술, 제4권, 제1호, pp.15-23
  6. Danielson, E.F. (1977). 'Inherent difficulties in hail probability prediction.' Meteorological Monograph', Vol. 38, pp. 135-143
  7. Foote, G.B. (1984). 'A study of hail growth utilizing observed storm condition.' Journal of Climate and Applied Meteorology, Vol. 23, pp. 84-101 https://doi.org/10.1175/1520-0450(1984)023<0084:ASOHGU>2.0.CO;2
  8. Morgan, G.M., Jr. (1970). 'An examination of the wet-bulb zero as a hail forecasting parameter in the Po Valley, Italy.' Joumnl of Applied Meteorology, Vol. 9, pp. 537-540 https://doi.org/10.1175/1520-0450(1970)009<0537:AEOTWB>2.0.CO;2
  9. Miller, R.C. (1972). Notes on analysis and severe storm forecasting procedures of the Air Force Global Weather Central. Air Weather Servo Tech. Rep. No. 200, Scott AFB, Illinois
  10. Stout, G.E., and S.A. Changnon, Jr. (1968), Climatology of hail in the central United States. CHIAA Res. Rep. No. 38
  11. Zverev, A.S., ed., (1972). Practical Work in Synoptic Meteorology. Hydrometeorol. Publ. House, Leningrad, pp. 225-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