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천강 중.하류의 하안단구 지형발달

Geomorphic Development of River Terraces at the Mid.Downstream of Hongchoen River

  • 윤순옥 (경희대학교 문리과대학 지리학과) ;
  • 이광률 (경희대학교 문리과대학 지리학과)
  • 발행 : 2000.06.01

초록

북한강 지류 홍천강은 중류구간과 하류구간의 하천 형태가 대조적이다. 홍천강의 중류는 단층선을 따라 직선상으로 남서류하고, 하류는 감입곡류 구간으로 서류하여 북한강에 합류한다. 유역분지의 기반암은 중류구간의 서쪽과 하류구간은 편마암, 중류구간의 동쪽은 화강암이며, 상류구간은 변성암과 화강암이 혼재한다. 하안단구는 중류구간 유로의 양안에서 넓게 분포하며, 하류구간에서는 감입곡류의 활주사면에 좁게 나타난다. 이러한 특징은 지질구조선의 존재, 중류와 하류의 지질 특성과 이에 따른 유로 발달의 차이에 기인한다. 화계분지는 중류구간의 가장 하류쪽에 위치하는데, 분지 내에는 고도를 달리하는 여러 단의 하안단구가 분포한다. 즉, 화계분지에서는 과거 여러 번에 걸친 유로변경과 이로 인해 곡류절단이 이루어졌다. 이는 변성암으로 이루어진 홍천강 하류의 좁고 깊은 하곡이 국지적인 침식기준면으로 작용하여 중류에서 하류로의 곡류대 이동이 방해받았기 때문이다. 하안단구의 형성시기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할 때, 저위 I면과 저위II면이 각각 Early Wurm 빙기와 Late Wurm에 대비되는 marine oxygen isotope stage 4와 2 시기에, 중위면은 Late Riss에 해당하는 marine oxygen isotope stage 6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키워드

참고문헌

  1. 지형학 권혁재
  2. 일본인의 기원 배기동
  3. 낙동강 상류와 왕피천의 하안단구 손명원
  4. 한반도 중·남부 지역의 감입곡류 지형발달 송언근
  5. 대한지리학회지 v.31 no.3 제4기 후기 영양분지의 자연환경변화 윤순옥;조화룡
  6. 대한지리학회지 v.34 no.3 한국 남동부 경주시 불국사단층선 북부의 활단층지형 윤순옥;황상일
  7. 남한강의 하안단구에 관한 연구 임창주
  8. 대한지리학회지 v.32 no.1 양산단층 주변의 지형분석 조화룡
  9. 한국지형학회지 v.5 no.2 경주시 하동 주변의 선상지 지형발달과 구조운동 황상일
  10. 河岸段丘 町田貞
  11. Geomorphology Bloom, L. A.
  12.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v.23 Types of river channel patterns and their natural controls Alabyan, M. A.(et al.)
  13. Geomorphic Development of Intermontane Basins in Korea Chang, H.
  14. ProcessGeomorphology Ritter, F. D.
  15.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v.23 Evolution of cutoffs across meander necks in Powder River, Montana USA Gay, R. G.;Gay, H. H.;Gay, H. W.;Martinson, A. H.;Meade, H.R.;Moody, A. J.
  16. Untersuchungen zur Jungquartaeren Vegetationsentwicklung in den Flussgebieten des Gawaji-, Dodaecheon-, Youngyang-, Unsan- und Jumunjin-Gebietes Suedkoreas Hwang(Yoon), Soon Ock
  17. Geomorphology from the Earth Butzer, W.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