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Electronic Transaction Law : Basic Electronic Trasaction Law in Korea and Uniform Electronic Transaction Act

전자상거래법 소고 - 우리나라 전자거래기본법과 미국 통일전자거래법 (Uniform Electronic Transaction Act)을 중심으로 -

  • Kim, Un-Young (Faculty of Business and Economics, Halla University)
  • Published : 2000.07.31

Abstract

In this era of changing system, we may learn lesson from newly developed Uniform Electronic Transation Act(UETA) in 1999. Korea has its counterpart as the Basic Electronic Transaction Act and Electronic Signature Act made by 1999. While UETA stresses on transaction law between individuals, that of Korean stresses on the role of government in electronic transaction. Both laws have the common definitions as electronic record, electronic signature, however, UETA has its own definitions such as automated transaction, computer program, electronic agent, inform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security procedure. Especially, transferable record in section 16 is one of the most unique concept which Korean law does not provide. Korean government is planning to introduce electronic note in the near future, which will make unprecedented reform in Korean financial industry. Since Korean law does not have such a concept as electronic note, revision of the law is expected soon. Korean law has its specialty which puts stress on cyber mall, authentication agency, and consumer protection. In U.S., the interpretation of law by court is important when they have disputes according to common law traditon. Studies on cases on disputes in U.S. is needed most for Korean application.

신기술에 의한 체제정비가 요구되는 시점에서 1999년 채택된 미국 통일전자거래법은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이 크다. 통일전자거래법은 개인간의 거래에서의 지침에 중점을 두는 반면 우리나라의 전자거래기본법과 전자서명법은 정부의 역할을 중시한 것이 특징이다. 통일전자거래법에는 우리나라와 동일하게 전자기록, 전자서명등에 대한 정의가 있고 자동화된 거래, 컴퓨터 프로그램, 전자대리인, 정보, 정보처리시스템, 보안절차등 우리나라에 없는 정의가 들어 있다. 제16조에서 규정하는 양도가능한 기록(Transferable Record)도 우리나라에 없는 특이한 개념이다. 여기서 명시하고 있는 전자어음은 법제정이 있기도 진에 우리나라에 도입하려고 하는 개념으로 금융산업의 지각변동을 예고하는 조항이기도 하다. 우리나라는 사이버몰, 인증기관을 강조하고 소비자의 보호지침을 도입한 것이 미국과 다른 특징이다. 미국의 경우는 각종 분쟁의 경우 법원의 해석을 강조하여 전통적인 사법부우위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향후 예상되는 각종 분쟁에 대한 미국의 판례연구는 한국에서도 신속하게 연구되어 적용되어야 할 분야라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