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울산단층의 단층분절 연구의 일환으로, 울산단층의 파쇄대로 추정되는 경주-울산간 7번국도와 인접한 지역 17개 측점에서 워커웨이 자료를 획득하였으며, 1-48 m의 옵셋구간에서 기록된 굴절파의 속도이방성을 측정하였다. 기록된 굴절 P파 속도는 평균 1787 m/s로 기반암의 풍화층 상부에서 굴절된 파로 해석되며, 속도이방성은 평균 0.056으로 구조선이 예상주향방향과 일치함을 간접적으로 시사한다. 경상북도와 경상남도의 도경계선를 기준으로 남쪽에서는 예상주향방향의 속도가 예상 경사방향보다 빠른 정상적인 이방성을 보이나, 북쪽으로는 단층의 주향이 여러 방향으로 갈라져있거나, 예상경사방향으로 발달된 구조선이 많이 발달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단층이 도경계선 부근을 경계로 울산단층이 분절되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As a part of geophysical studies on segmentation of the Ulsan fault, walkaway refraction seismic data were measured at 17 stations near National Road 7 between Kyungju and Ulsan. Seismic anisotropy was analyzed in the offset range of 1-48 m. The average refraction velocity of 1787 m/s indicates the refractor is the upper boundary of weathered basement. P-wave anisotropy is computed to be 0.056 in average, which may serve as a weak evidence that the strike of major geologic structure coincide with the inferred fault direction. In the south of the province boundary between Kyungsangnam-do and Kyungsangbuk-do, the velocity anisotropy is normal in that P-wave velocity in the strike direction is faster than the one measured in the dip direction. On the contrary, it appears that the fault strikes in many directions or that fractures may be developed better in the dip direction in the northern par. Such a difference in anisotropic pattern is believed to be a seismic evidence indicating that a segmentation boundary of the Ulsan fault locates near the province bound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