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ldhood Kidney Diseases
- Volume 4 Issue 2
- /
- Pages.136-143
- /
- 2000
- /
- 2384-0242(pISSN)
- /
- 2384-0250(eISSN)
Clinical Study on Hemolytic Uremic Syndrome in Children: Review of 23 Cases
소아 용혈성 요독 증후군 23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 Oh Seungji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eungnam University) ;
- Yook Jinwo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eungnam University) ;
- Kim Ji Ho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eungnam University) ;
- Kim Pyung-Kil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eungnam University)
- 오승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육진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지홍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병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Published : 2000.08.01
Abstract
Purpose : The hemolytic uremic syndrome (HUS) is characterized by microangiopathic hemolytic anemia thrombocytopenia, and acute renal failure. It is ole of tile most common cause of acute renal failure in children but few reports are available in Korea. Thus we investigated the 23 patients diagnosed as HUS during last 14 years. Method :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etiologic factor, clinical manifestations laboratory findings, treatment modalities, and final outcomes of the patients. Then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outcome, md comparison was performed. Group A(8) comprised patients who progressed to end-stage renal disease or expired. Group B(15) comprised patients who completely recovered after dialysis treatment. Result The number of patients aged less than 4 years were 17; between 5 and 10 were 4 and more than 10 were 2. The gende ratio was M:F=2 : 1. The etiologic factors were as follows: acute gastroenteritis in 14 patients including 4 bloody diarrhea,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in 7 patients, and 1 patient with herbal mediation. The overall mortality rate was 22
목 적 : 용혈성 요독 증후군은 미세혈관 병변성 빈혈, 혈소판 감소증, 급성 신부전 등이 동반되는 질환으로 소아에서 급성 신부전의 흔한 원인중 하나이나 국내에서는 보호가 매우 드문 편이다. 이에 저자들은 용혈성 요독 증후군으로 진단 받은 소아 환자들의 임상 고찰을 통하여 본 질환의 이해 및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 법 : 1986년 1월부터 2000년 1월까지 병원에서 소아 용혈성 요독 증후군으로 진단 닫은 환아 23명을 대상으로 입원 당시의 병인, 임상 증상, 임상 검사 소견, 치료 방법 및 예후에 대해 후향성으로 조사하였고, 사망 또는 말기 신부전으로 이행된 불량한 예후를 보인 8명 (Group A)과 투석 시행후 완전히 회복되었던 소아 15명(Group B)으로 나누어 임상 소견 및 치료시기에 따른 예후를 비교하였다. 결 과 : 연령 및 성별 분포는 4세 이하가 17명, 5세 이상 10세 이하가 4명, 11세 이상이 2명 이었고, 남녀비는 1.9:1이었다. 전구 증세를 원인별로 보면 급성 위장관염이 14예, 상기도염이 7예, 한약 복용후 발병한 경우가 1예 있었다. 치료 후 완전 회복된 경우는 15예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