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Capsuloligamentous Anatomy of the Glenohumeral Joint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Three-Dimensional Imaging. Dynamic In Vivo Study

자기공명 영상 및 3차원 영상을 이용한 견관절 관절낭-인대의 해부학적 연구. 역동학적 생체연구

  • Park Tae-Soo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Il-Yong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oo Kyung-Bin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Sun-Il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Jun-Sic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ik Doo-Jin (Department of Anatomy,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박태수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최일용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주경빈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진단 방사선과학교실) ;
  • 김선일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계량의학교실) ;
  • 김준식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계량의학교실) ;
  • 백두진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Published : 2000.12.01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changes in the orientation ortho glenohumeral ligaments(GHL) in different degrees of abduction and rotation of the normal healthy individuals. Materials and Methods : Saline Magnetic Resonance(MR) arthrography of nine consecutive shoulders of normal healthy adults were checked. At that time, MR images were obtained in three different positions of abduction and external rotation($0^{\circ}C\;and\;0^{\circ},\;45^{\circ}C\;and\;25^{\circ}C,\;90^{\circ}$ and maximum, respectively). From a series of consecutive MRI, three-dimensional images were reconstructed after detecting the location of the middle glenohumeral ligament(MGHL) and the inferior glenohumeral ligament(IGHL) using workstation computer. Results : The shape of the MGHL was taken in double curved, and straight, and finally curved again in three different positions of the shoulder in sequence. On the other hand, the shape of the IGHL was obliquely positioned, and curvilinear, and finally straight and extended at lower part of the anterior surface of the humeral head. Conclusions : At $45^{\circ}$ of abduction and $25^{\circ}$ of external rotation, and at $90^{\circ}$ of abduction and maximal external rotation of the shoulder, the MGHL and the IGHL had the role of the most important static stabilizer of the glenohumeral joint repectively.

목적 : 정상견관절의 각기 다른 위치에 따른 관절와 상완 인대들의 해부학적 구조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정상 견관절 9례에 대하여 생리식염수를 주입하고 외전 및 외 회전의 위치를 달리하여(각각 $0^{\circ}$$0^{\circ},\;45^{\circ}$$25^{\circ},\;90^{\circ}$ 및 최대 외 회전) 자기공명 영상을 각각 촬영하고 이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재구성한 후 관절와상완 인대 특히 중 및 하 관절와 상완 인대를 관찰하였다. 결과:. 중 관절와 상완 인대는 $0^{\circ}$ 외전 및 $0^{\circ}$ 외 회전시 상완골 두의 전면 적도를 중심으로 상하부에 걸쳐 이중 곡선 모양으로 비스듬히 위치하였다가, 외전 및 외 회전이 점차 증가하여 $45^{\circ}$$25^{\circ}$에 이르면 점차 상완골 두의 전면 적도 부근에 신장되어 거의 직선에 가까운 비스듬한 주행을 보였으며, $90^{\circ}$ 외전 및 최대 외회전시 상완골 두의 전면 적도의 상부 위치에 다시 곡선 모양을 보였다. 반면 하 관절와 상완 인대는 $0^{\circ}$ 외전 및 $0^{\circ}$ 외 회전시 상완골 두의 전면 하부에서 완만한 곡선 모양으로 위치하였으며, 외전 및 외회전이 증가함에 따라 상완골 두의 전면 적도 아래에 위치하면서 아래쪽으로 볼록한 곡선 모양을 보였다가, $90^{\circ}$ 외전 및 최대 외 회전시 상완골 두의 전면 하부에 거의 직선에 가깝도록 신장되어 비스듬히 위치하였다. 결론 : 견관절을 $45^{\circ}$ 외전 및 $25^{\circ}$ 외 회전 할 때와 $90^{\circ}$ 외전 및 최대 외 회전 시 중 관절와 상완 인대 및 하 관절와 상완 인대가 각각 신장되어 관절와 상완 관절의 중요한 정적 안정화 구조물로서 작용한다고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