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hscopic Treatment of Osteochondritis Dissecans in Femoral Condyle

관절경을 이용한 대퇴골과 박리성 골연골염에 대한 치료

  • Kim Sung-Ju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yung Hee-So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Ihn Joo-Chu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Seong-Ma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성중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경희수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인주철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이성만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0.12.01

Abstract

Purpose : We analyzed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the treatment of osteochondritis dissecans in the femoral condyle under arthroscopic guidance. Materials and Methods : The study group consists 19 cases in 17 patients.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34 months and average age was 16 years. The cases were classified by 4 different groups, using the fellowing system: Group 1-stable lesion and no specific treatment after arthroscopic examination; Group 2-early separation and multiple drilling; Croup 3-unstable lesion and Herbert screw fixation; Croup 4-loose body removal and/or crater curettage.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he criteria of Hughston which including clinical and radiologic outcomes. Results : There were 14 cases$(74\%)$ of good and excellent results in 19 knees in which, $75\%$(3/4) in Group 1, $75\%$(3/4) in Group 2, $86\%$(7/8) in Group 3 and $33\%$(1/3) in Group 4. The result of Herbert screw fixation group was better than that of other group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 In the treatment of osteochondritis dissecans of skekletally immature patients, arthroscopic finding was reliable guidance in decision of treatment method and active fixation was recommended in patients with large, unstable lesion.

목적 : 관절경 소견을 기준으로 슬관절 대퇴골과의 박리성 골연골염에 대한 치료를 시행하여 그 결과를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분석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퇴골과의 박리성 골연골염 환자 17면 19례에 대해 관절경을 시행하고 그 소견을 토대로 치료방법을 결정하였다. 관절경 관찰후에 특별한 조작을 가하지 않은 경우를 1군, 다발성 천공술을 시행한 경우를 2군, Herbert 나사로 고정을 시도한 경 우를 3군, 유리체 제거나 기저부 소파술을 시행 한 경우를 4군으로 분류하여 그 결과를 Hughston등의 방법에 의한 분석으로 우수, 양호, 보통, 불량, 실패 등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 총 19례 중 14례$(74\%)$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얻었다. 치료 방법에 따른 분류상 1군 중 3례(3/4)에서, 2군 중 3례(3/4)에서, 3군 중 7례(7/8)에서, 4군 중 1례(1/3)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얻었다. Herbert 나사 고정군에서 다른 군보다 더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결론 : 대퇴골과의 박리성 골연골염의 치료 방법 결정에 있어서 관절경 소견은 믿을만 한 지표로 판단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골성장판이 완전 폐쇄되기 전의 환자에서 Herbert 나사 고정술과 같이 병변부에 대하여 적극적인 재건을 시도하여 만족 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