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es of Patellofemoral Alignment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후 슬개-대퇴 관절 선열의 변화

  • Hahn Sung-Ho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National Police Hospital) ;
  • Yang Bo-Kyu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National Police Hospital) ;
  • Yi Seung-Rim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National Police Hospital) ;
  • Chung Shun-Woo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National Police Hospital) ;
  • Kwon Gi-Doo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National Police Hospital)
  • 한성호 (국립경찰병원 정형외과) ;
  • 양보규 (국립경찰병원 정형외과) ;
  • 이승림 (국립경찰병원 정형외과) ;
  • 정선욱 (국립경찰병원 정형외과) ;
  • 권기두 (국립경찰병원 정형외과)
  • Published : 2000.12.01

Abstract

Purpose : To compare the changes of the patellar height, patellofemoral alignment and subjective symptom and to compare the effects of patellar tendon harvest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reconstruction using autograft and allograft. Materials and Method : ACL reconstruction was performed on 87 patients who were followed up for minimum 1 year. The group I was 52 patients who were operated with bone-patellar tendon-bone autograft and the group II was 35 patients who were operated with bone-patellar tendon-bone allograft and achilles tendon allograft. At the time of follow-up, the authors evaluated the patellar height by Blackburne-Peel method, Merchant congruence angle, Lateral patellofemoral angle and subjective symptoms were assessed. Results : The patellar heigh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0.86 preoperatively to 0.80 postoperatively in the group I and from 0.87 preoperatively to 0.83 postoperatively in the group II.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ateral patellofemoral angles between the both groups but in the Merchant congruence angl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both groups, from$-1.43^{\circ}$ preoperatively to-$5.43^{\circ}$ postoperalively in the group I and from$-1.53^{\circ}$ preoperatively to$-3.65^{\circ}$ postoperatively in the group II. Conclusion : After ACL reconstruction, the patellofemoral alignment was changed and this kind of changes may be caused by multiple factorials such as harvest of autografts, ACL reconstruction itself, and quadriceps muscle atrophy.

목적 :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후 슬개-대퇴 관절의 문제중 슬개건의 길이 변화, 슬개-대퇴 관절의 선열의 변화 및 환자의 주관적 증상으로 비교 하였고 슬개건의 침습이 없는 동종 이식술과 슬개건을 침습한 자가 이식술을 비교하여 슬개건의 침습이 슬개-대퇴 관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 가능했던 환자 8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가 골-슬개건-골을 이용해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 52예를 제 1군, 동종 골-슬개건-골과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해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 35예를 제 2군으로 하였다. 수술 전, 후 단순 방사선 사진상에서 Blackburne-Peel 방법, 일치각(Congruence angle), 외측 슬개-대퇴 각(Lateral patellofemoral angle), 환자의 주관적 증상에 기초를 두어 결과를 판정하였다. 결과 : 시상면에서 슬개골 위치는 제 1군에서 술전 0.86에서 술후 0.80으로 유의할 만하게 감소하였으며, 제2군에서 술전 0.87에서 술후 0.83로 감소하였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외측 슬개-대퇴 각은 양군에서 유의할 만한 차이는 없었으며, 일치각은 제 1군에서 술전 $-1.43^{\circ}$에서 술후 $-5.43^{\circ}$$4^{\circ}$내측으로 전위되었고 제2군에서 술전 $-1.53^{\circ}$에서 술후 -3.65로 약 $2.12^{\circ}$내측으로 전위되었다. 결론 :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후 슬개-대퇴 관절의 선열은 변하며 이러한 변화는 자가 이식건의 채취, 십자 인대 재건술 자체, 대퇴 사두근 약화등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