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o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in Locally Advanced Hypopharyngeal Cancer

국소 진행된 하인두암의 선행 항암화학요법 후 방사선치료

  • Kim Suzy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Wu Hong-Gyun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eo Dae-Seog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Charn I1 (Instisute of Radiation Medicine, Medical Research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수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우홍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허대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찬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Published : 2000.12.01

Abstract

Purpose :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onse to chemotherapy and the final outcome of neoadiuvan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mocanry advanced hypopharyngeal cancer. Methods and Material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done for thirty-two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hypopharyngeal cancer treated i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ith neoadiuvan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from August 1979 to July 1997. The patients were treated with Co-60 teletherapy unit or 4MV or 6MV photon beam produced by linear accelerator. Daily fractionation was 1.75 to 2 Gy, delivered five times a week. Total dose ranged from 60.8 Gy to 73.8 Gy. Twenty-nine patients received continuous infusion of cisplatin and 5-FU. Other patients were treated with cisplatin combined with bleomycin or vinblastin. Twenty-four (75$\%$) patients received all three prescribed cycles of chemotherapy delivered three weeks apart. Six patients received two cycles, and two patients received only one cycle. Results :The overall 2-year and 5-year survival rates are 65.6$\%$ and 43.0$\%$, respectively. 5-year local control rate is 34$\%$. Organ preservation for more than five years is achieved in 12 patients (38$\%$). After neoadjuvant chemotherapy, 24 patients achieved more than partial remission (PR): the response rate was 75$\%$ (24/32). Five patients had complete remission (CR), 19 patients PR, and 8 patients no response (NR). Among the 19 patients who had PR to chemotherapy, 8 patients achieved CR after radiotherapy. Among the 8 non-responders to chemotherapy, 2 patients achieved CR, and 6 patients achieved PR after radiotherapy. There was no non-responder after radiotherapy. The overall survival rates were 60$\%$ for CR to chemotherapy group, 35.1$\%$ for PR to chemotherapy group, and 50$\%$ for NR to chemotherapy group, respectively (p=0.9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five-year overall survival rates between the patients with CR and PR after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73.3$\%$ vs. 14.7$\%$, p<0.01). The prognostic factor affecting overall survival was the response to overall treatment (CR vs. PR, p<0.01). Conclusion :In this study, there were only five patients who achieved CR after neoadiuvant chemotherapy. Therefore the difference of overall survival rates between CR and PR to chemotherapy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the response to chemo-radiotherapy was the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 There needs to be more effort to improve CR rate of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consideration for future use of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목적 : 국소 진행된 하인두암에서 선행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를 시행했을 때 결과와 각 치료법에 대한 반응이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국소 진행된 하인두암으로 진단받고 선행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를 받은 3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일일 선량 1.75$\~$2.0 Gy를 하루 1회, 주 5회 조사하였다. 총 방사선량은 60.8$\~$73.8 Gy (평균선량 68.6 Gy) 이었다. 선행 항암화학요법은 29명의 환자에서 5-FU와 cisplatin을 병용했고 나머지 환자들에서는 cisplatin을 기본으로 하여 bleomycin또는 vinblastin을 병용 투여했다. 24명(75$\%$)의 환자에서 3주 간격으로 3회의 선행 항암화학요법을 모두 시행하였고, 6명에서 2회, 2명에서 1회의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였다. 결과 : 추적관찰기간은 7개월에서 134개월이었고 중앙값은 28개월이었다. 전체 대상환자들의 2년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66$\%$, 43$\%$였고, 5년 국소제어생존율은 34$\%$였다. 12명(38$\%$)의 환자에서 5년 이상 후두가 보존되었다. 전체32명의 환자 중 선행 항암화학요법 후에 5명(16$\%$)에서 완전관해를 보였고, 19명(59$\%$)에서 부분관해, 8명(25$\%$)의 환자에서 무반응을 보여 반응률은 75$\%$였다. 부분관해를 보인 19명 가운데 8명은 방사선치료 후에 완전관해를 보였다. 선행 항암화학요법에 대해 무반응이었던 8명 중 2명은 방사선치료 후에 완전관해를 보였고, 나머지 6명은 부분관해를 보였다. 모든 치료가 종료한 후 무반응인 환자는 한 명도 없었다. 선행 항암화학요법에 대해서 완전관해, 부분 관해, 무반응을 보인 환자군별로 5년 생존율은 각각 60$\%$, 35.1$\%$, 50$\%$였다. 세 군간에 5년 생존율을 비교했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93). 모든 치료가 끝난 후에 완전관해를 보인 환자군과 부분관해를 보인 환자군의 5년 생존율은 각각 73.3$\%$, 14.7$\%$로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1).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에 대한 분석을 실시했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던 요인은 방사선 치료 후 최종 치료반응이었다(CR vs. PR, p<0.01). 결론 : 국소로 진행된 하인두암의 치료에 있어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반응과 장기 생존율간에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방사선치료 후 최종 치료 반응이 장기 생존율에 가장 중요한 예후 인자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