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operative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r Medulloblastoma

수아세포종의 수술 후 외부 방사선치료

  • Chun, Ha-Chung (Department of Therapeutlc Radlology,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Myung-Za (Department of Therapeutlc Radlology,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전하정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이명자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Published : 2000.06.01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was pefor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tolerance of craniospinal irradiation for patients with modulloblastoma and to define the optimal radiotherapeutic regimen. Materials and Method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records of 43 patients with modulloblastoma who were treated with external beam craniospinal radiotherapy at our institution between May, 1984 and April, 1998. Median follow up period was 47 months with range of 18 to U months. Twenty seven patients were male and sixteen patients were female, a male to female ratio of 1.7:1. Surgery consisted of biopsy alone in 5 patients, subtotal excision in 24 patients, and gross total excision in 14 patients. All of the patients were treated with craniospinal irradiation. All of the patients except four received at least 5,000 cGy to the posterior fossa and forty patients received more than 3,000 cGy to the spinal cord. Results : The overall survival rates at 5 and 7 years for entire group of patients were 57$\%$ and 56$\%$, respectively. Corresponding disease free survival rates were 60$\%$ and 51$\%$, respectively, The rates of disease control in the posterior fossa were 77$\%$ and 67$\%$ at 5 and 7 years. Gross total excision and subtotal excision resulted in 5 year overall survival rates of 76$\%$ and 66$\%$, respectively, In contrast, those patients who had biopsy alone had a 5 year survival rate of only 40$\%$. Posterior fossa was a component of failure in 11 of the 18 recurrences. Seven recurrences were isolated to the posterior fossa. Four patients had neuraxis recurrences, three had distant metastasis alone and four had multiple sites of failure, all involving the primary site. Conclusion : Craniospinal irradiation for patients with moduiloblastoma is an effective adjuvant treatment without significant treatment related toxicitles.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in terms of posterior fossa control, especially in biopsy alone patients. The advances in radiotherapy including hypefractionation, stereotactic radiosurgery and 3D conformal radiotherapy would be evolved to improve the tumor control rate at primary site.

목적 : 수아세포종에 대한 수술 후 두개척수 방사선종양학 의학용어집에 따라 방사선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고 최적의 방사선치료 방법을 알아보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대상 및 방법 : 1984년 5월부터 1998년 4월까지 본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두개척수 외부 방사선치료를 받은 43명의 수아세포종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추적기간은 18개월에서 U개월이었으며 중앙추적기간은 47개월이었다. 남자는 27명이었고 여자는 16명으로서 남자와 여자의 비율은 1.7: 1이었다. 5명의 환자에서는 조직검사만을 시행하였고 14명에서는 육안적 완전절제술, 나머지 24명의 환자에서는 아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는 두개척수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39명의 환자는 최소 5,000 cGy의 방사선을 원발부위에 조사받았으며 40명의 환자는 최소 3,000cGy의 방사선을 척수에 조사받았다. 결과 : 대상환자 43명의 5년 및 7년 생존율은 67$\%$ 및 56$\%$이었고, 5년 및 7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60$\%$ 및 51$\%$이었다. 원발병소의 국소제어율은 5년 및 7년에 각각 77$\%$ 및 67$\%$이었다. 육안적 완전절제술 및 아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의 5년 생존율은 각각 76$\%$ 및 66$\%$이었으며 반면에 조직검사만을 시행받은 환자는 5년 생존율이 40$\%$에 불과 하였다. 총 18명의 재발환자 중 11명에서 원발부위가 재발부위이었으며 7명의 환자는 원발병소에서만 재발하였다. 4명의 환자는 척수에서, 3명의 환자는 원격전이만을 보였고 나머지 4명의 환자에서는 원발부위를 포함하여 여러부위에서 재발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결론 : 수아세포종의 뇌척추 방사선치료는 유의한 치료 부작용이 없는 효과적인 치료요법이었다. 그러나 원발부위의 국소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개선하여야 할 점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다분할조사, 정위적 방사선수술 및 삼차원 입체 조형치료 등 방사선요법의 기술적 발전으로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