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제8권3호
- /
- Pages.243-249
- /
- 2000
- /
- 1225-9306(pISSN)
- /
- 2288-0186(eISSN)
RAPD 분석과 뿌리의 내부구조 비교를 통한 당귀류의 감별
Discrimation of the three Angelica species using the RADPs and Internal Root Structure
- 이미영 (한국한의학연구원) ;
- 임성희 (한국한의학연구원) ;
- 주영승 (경희대학교) ;
- 한경식 (경희대학교) ;
- 정계진 (우석대학교) ;
- 안덕균 (우석대학교) ;
- 강헌철 (경희대학교) ;
- 고병섭 (한국한의학연구원)
- Lee, Mi-Young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 Im, Sung-He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 Ju, Young-Seung (Kyeong Hee University) ;
- Han, Keong-Sik (Kyeong Hee University) ;
- Jeong, Ge-Jin (Woosuk University) ;
- An, Deok-Gun (Woosuk University) ;
- Kang, Heon-Cheol (Kyeong Hee University) ;
- Ko, Byong-Seob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발행 : 2000.09.30
초록
RAPD 분석을 통한 marker선별과 건조약재의 비교, 그리고 내부형태 특징을 통해 당귀3종(種)을 구별할 수 있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50개의 primer중 5개의 primer에서 당귀류 3품종을 모두 구별할 수 있는 특이적인 band가 나타났다. 2. 유연관계 분석에서 중국당귀와 일당귀가 참당귀보다 더 근연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3. 신선한 잎과 건조된 약재에서 RAPD 재현성이 확인되어 RAPD 분석법을 통해 당귀감별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 뿌리 내부구조에서 중국당귀는 정상적인 2기사부와 2기목부에 덧붙여 일부 이상비대생장을 보였고, 일당귀나 참당귀의 도관절에 비하여 더 넓고 짧아 계통학적으로 훨씬 더 진화된 것으로 여겨진다. 5. 일당귀는 현저하게 두꺼운 코르크층이 발달한 반면 참당귀의 코르크층 아래에
Analysis of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s(RAPDs) and internal morphological features were performed using three species of medicinal plants in the genus of Angelica(A. gigas Nakai, A. sinensis(Oliv.) Diels., A. acutiloba Kitagawa) to distinguish between these three species. Fifty decarmer oligonucleotide primers were screened for the RAPDs of the herbal plant species. Five primers generated distinct RAPD markers specific to the species of Angelica, In analysis of the degree of similarity, A. sinensis(Oliv.) Diels is more closely related to A. acutiloba Kitagawa than to A. gigas Nakai. Furthermore, we proved the usefulness of RAPD analysis for the discrimination of the species using dry roots and commercial plant materials. In internal morphology of three species, A. sinensis(Oliv.) Diels seemed to be more specialized in systemic than A. acutiloba Kitagawa and A. gigas Nak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