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asurement of Mucin Amounts Using RTO3 in Patients with Chronic Airway Disease

만성 기도질환에서 흰쥐 뮤신에 대한 단 세포군 항체(RTO3)를 이용한 뮤신 측정에 관한 연구

  • Kim, Do-J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
  • Kim, Ki-Up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
  • NamGung, Eun-Kya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
  • Uh, Soo-Tae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
  • Kim, Young-H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
  • Shin, Chan-Young (College of Pharma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o, Kwang-Ho (College of Pharma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rk, Choon-Si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 김도진 (순천향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기업 (순천향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남궁은경 (순천향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어수택 (순천향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용훈 (순천향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신찬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 고광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 박춘식 (순천향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9.12.30

Abstract

Background: It has been anticipated that the amount and composition of mucin are changed in patients with chronic airway diseases. We evaluated whether RTO3(mAb against rat tracheal mucins) could quantify the amount of mucin from the airway in the patients with chronic airway diseases. Methods and results; 1) RTO3 was bound to high molecular weight of mucin based on Western blot in sputum and BALF from patients with chronic airway diseases. 2) The goblet cells and submucosal glands in main bronchus from human were observed by PAS stain.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 with RTO3 showed immunoreactivity on some goblet cells. 3) The amount of mucin was more increased in patients with chronic airway diseases compared to those in normal subjects. 4) In the exacerbation of asthmatics, mucin amounts were more increased than stable asthmatics. Conclusion: We suggested that secreted mucin in chronic airway diseases can be quantified by ELISA with RTO3.

배 경: 만성 기도 질환자에서 유신 양의 증가와 생화학적 변화가 예상된다. 기도 질환자에서의 기도내 뮤신의 정량적 측정에 흰쥐 뮤신에 대한 단 세포군 항체(RTO3)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기도 질환자와 정상인에서 채취한 객담과 기관지 세척액으로부터 얻은 뮤신과 RTO3와의 교차반응을 확인하기 위하여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였고 단 세포군 항체가 생체내의 기도 뮤신과의 특이적인 반응을 하는지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검색 하였다. ELISA를 이용하여 정상인과 기도 질환자의 뮤신 양을 비교하여 보았고 또한 기도 질환에 따른 뮤신양의 변화도 관찰하였다. 결 과: 1) Western blot으로 두명의 기관지 천식환자에서 220kDa 이상에서 면역적으로 반응하는 뮤신을 관찰하였고 2) 사람의 주 기관지에서 상피 세포층의 배상 세포와 점막하층의 분비선에서 뮤신이 분비됨을 PAS 염색법으로 확인하였지만 RTO3를 이용한 면역조직 화학 염색에서는 양성 소견을 보이는 세포의 빈도가 적었다. 3) 뮤신의 양은 정상인에서는 평균 48ng/ml이하로 분비 되지만 기도 질환자에서는 정상인에 비해 뮤신 양의 분비가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4) 기도 질환의 병기에 따른 뮤신 양의 변화는 기관지 천식환자에서 심한 발작시에 뮤신의 분비가 안정한 천식상태에서 보다 증가 됨을 알 수 있었다. 5) 폐암 환자의 기도 세척액에서 얻은 뮤신의 양도 정상인 보다 증가되어 있었다. 결 론: 만성 기도질환자의 뮤신 정량적 측정에 표식자로 단세포군 항체 RTO3를 이용한 ELISA의 시용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