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eral Consciousness on Medical Ethics of Korean Clinicians

임상의(臨床醫)들의 의료(醫療) 윤리관(倫理觀)

  • 김두희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 Published : 1999.12.30

Abstract

This is carried out to study on the general consciousness for medical ethics of Korean local and hospital clinicians from March to May, 1999. The subjects are 288 respondents out of 1,500 those who selected by systemic random sampling method from the list of physicians published on 1997. An adequate questionnaire with 21 questions made by author was distributed through mail for those.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are as follows. Women are 15%. For like this questionnaire, those who were graduated from. The national universities were more actively concerned than those graduated from the private universities. Christian was 35.4%, Catholic was 28.5% and buddhist was 14.9% and 17.4% had no religion. Now a day in generally, it is clearly confusing status between an ideal thinking and actuality in medical ethical aspects in Korea. They want more developed medical delivery system. The most of physicians are improving on four mind-sets, the mind of love, pity, joy and abandonment as much as they are cognizing that the pains of patients are themselves pains. But they do not want to be the ministry. On the problems of the easy to die, it seems that they have somewhat different opinions according to their religions, respectively;- christians are more responsible than others to keep to the terminal point of life of patients.

의료기술 시혜(施惠)의 바탕이 되는 일반적인 의료윤리 상황을 알아보고자 1997년에 작성된 임상의사명부에서 계통적 확률추출법으로 1,500명을 선택하고 그 중 응답한 288명을 대상으로 1999년 3월 - 5월 현재로 윤리관에 대하여 몇 가지 조사해 보았다. 1. 대상이 된 의료인은 여성이 약 15%이고 국립대 출신의 반응이 우세하며 종교적으로는 불교가 14.9%, 천주교가 28.5%, 기독교가 35.4%, 무교가 17.4%로써 천주교와 기독교를 합하면 63.9%이며 불교와 무교를 합하여도 32.3%였다. 2. 일견해서 우리 나라 의료계의 윤리간은 이상(理想)과 현실사이에 대단히 혼란스러운 상태에 있음을 알 수 있다. 3. 환자의 고통을 나의 고통으로 알고 자비회사의 정신을 살리고자하는 마음 바탕을 가진 경우가 많으나 이미 성직자에 비유한 말이 옳지 않다고 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아직 안락사문제와 관련하여는 종교적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건의 하루속히 의료인들이 안정을 찾을 수 있는 시책을 마련해 주고, 정부나 환자들은 의사들에 대한 능력을 인정해야하고, 구체적으로 윤리교육을 원천적으로 강화하고, 정부에서는 의료인들이 난처한 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길을 제도적으로 마련해 주기 바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