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Scrapping Aerial Mycelia and Light on the Production of Macroconidia and Chlamydospores of Cylindrocarpon destructans Causing Root Rot of Panax ginseng

기중균사 제거와 광처리가 인삼 뿌리썩음병균 Cylindrocarpon destructans의 대형분생포자 및 후막포자 생성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1999.09.01

Abstract

Under the light condition of 25,000 Lux (12 hrs dark and light cycle) with scrapping treatment of aerial mycelia of Cylindrocarpon destructans on potato dextrose agar (PDA), V-8 juice agar, and ginseng extract agar, production of the macroconidia was increased to $3.7\~8.1$ fold over them produced in the dark. They were also produced $7.7\~18.0$ times more in the liquid cultures under the light condition than under the dark as well. PDA and V-8 juice agar among the tested were the best for the macroconidium production. On PDA, 1,585 $macroconidia/mm^2$ were produced under the light of 25,000 Lux with scrapping treatment of aerial mycelia of C. destructans, which is 3.2 and 1.4 times more than those produced under 3,000 and 10,000 Lux, respectively. Meanwhile, $20\~99$ macroconidia/$mm^2$ were produced by the non-scrapping under the light condition between 3,000 Lux and 25,000 Lux. The macroconidia were, however, lysed at $6\~7$ days after being incubated under the above range of the light. They were consisted of $1\~3$ cells in a macroconidium while $69.4\~100\%$ of them were the two-celled and the number did not seem to be affected by either the scrapping or the light. Production of chlamydospore converted from mycelia of C. destructans seemed to be promoted by the light and the scrapping as well. The 1,285 chlamydospres/$mm^2$ were produced with the light (25,000 Lux), which is 2.8 and 1.2 times more than those with 3,000 and 10,000 Lux, respectively. Scrapping the aerial mycelia of the cultures increased the chlamydospore formation to 1.9, 2.5 and 1.4 times more than the non-scrapping under the light intensity of 3,000 Lux, 10,000 Lux, and 25,000 Lux, respectively. On PDA, 1 to 8 chlamydospore(s) per catena were formed by all treatments tested and $34.2\~58.9\%$ of them was a single chlamydospore, However, the numbers was affected by neither the light ($3,000\~25,000$ Lux) nor the scrapping the aerial mycelia.

Potato dextrose agar(PDA), V-8 agar, Ginseng extract agar배지에 C. destnctam를 배양한 후 기중균사를 제거하고 25,000 Lux의 광처리로 대형분생포자 생성을 유도한 결과, 암처리에 비해 대형분생포자 생성이 $3.7\~8.1$배 촉진되었다. 위 공시 배지의 액체배지들의 경우에는 광처리에 의해 대형분생포자 생성이 암처리에 비해 $7.7\~18.0$배 촉진되었다. 광처리로서 대형분생포자를 가장 많이 생성한 배지는 PDA와 V-Bagar로 조사되었다. C. destnctans의 대형분생포자 생성에 미치는 광처리 조건중 기중균사 제거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C. destructans가 생육된 Potato dexoose agm에 기중균사를 제거하고 광량별 처리로 대형분생포자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25,000Lux 의 광처리로 대형분생포자 생성량이 최고 1,585$macroconidia/mm^2$로 측정되어 3,000Lux 및 10,000Lux의 광처리 후 측정된 최고 생성량에 비해 각각 3.2배, 1.4배 많이 생성되었다. 그러나 기중균사 무제거구는 $3,000\~25,000$Lux의 광처리 조건에서 대형분생포자는 $20\~99\;macroconidia/mm^2$의 적은양이 생성되어 광처리시 기중균사 제거는 C. destructans의 대형 분생포자 생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분생포자를 구성하는 세포수는 기중균사의 제거 및 무제거와 광량별 처리에 관계없이 $1~3$개로 관찰되었고 2개의 세포로 구성된 것이 $69.4\~10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광처리로부터 얻어진 대형분생포자는 광처리 6~7일 경과후 부터 분해되기 시작하였다. C. destructans의 기중균사 무제거 상태에서 광처리를 55일간 지속한 결과 광량증가에 따라 균사체가 변형된 후막포자 형성이 촉진되어, 25,000Lux광처리구에서 후막포자 생성량이 1,285$chlamydospres/mm^2$로서 3,000 및 10,000Lux의 경우에 비해 각각 2.8, 1.2배 많이 생성되었다. C. destructans의 기중균사를 제거한 상태로 광을 처리한 경우에는 균사체변형 후 막포자 형성이 더욱 촉진되어 기중균사 제거후 3,000Lux, 10,000Lux, 및 25,000Lux의 각 광처리에서는 기중균사 무제거구의 각 광처리 대조구들에 비해 후막포자가 각각 1.9, 2.5, 1.4배 많이 생성되었다. 균사체변형 후막포자 chain내 세포수는 기중균사 제거 혹은 무제거구의 광 및 암처리에 관계없이 1~8 개이었고 1개의 단독세포로 구성된 것이 $34.2\~58.9\%$로 가장 많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