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마(李濟馬)의 형상관(形象觀)에 대한 의사학적(醫史學的)인 고찰(考察)

Studies on the medical histological point of view of Lee Je-ma's "Hyung Sang"

  • 하만수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과) ;
  • 송일병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과)
  • Ha, Mahn-soo (Dept.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of Kyunghee University) ;
  • Song, Il-byung (Dept. of Oriental Medicine, Graduate School of Kyunghee University)
  • 발행 : 1999.11.30

초록

이제마(李濟馬)는 사상인(四象人)의 장부성리(臟腑性理)와 그에 해당하는 사상인(四象人)의 외형(外形)을 발견하며 사상체질론(四象體質論)을 성립시켰다. 사상인(四象人)을 감별하는 변증(辯證)에 있어 용모사기(容貌詞氣)와 체질기상(體質氣象), 성질재간(性質才幹), 지행(知行)의 취상판증(取象辦證) 방법을 제시하면서 형상(形象)을 이용한 형상의학(形象醫學) 정신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제마(李濟馬)의 형상관(形象觀)은 사상의학(四象醫學)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저자는 동무공(東武公)의 형상관(形象觀)이 이루어진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주역(周易)과 중용(中庸) 그리고 주돈신의 태극도설(太極圖說)의 정신을 의사학적으로 비교하고 격치고(格致藁), 동무유고(東武遺藁), 동의수세보원초본권(東醫壽世保元草本卷)에 나타난 형상관(形象觀)과 비교 고찰하고자 한다. 형상(形象)은 형(形과) 상(象)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는데 형(形)은 가시적으로 나타나는 눈에 보이는 것을 말하고, 상(象)은 공통적인 분모로 유추하여 간접적인 그림자로 느낄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눈에 보이는 물상(物象)과 눈에 보이지 않는 의상(意象), 정신적인 면도 형상화 할 수 있다. 이제마(李濟馬)의 형상관(形象觀)이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시전(詩傳)에 유물유칙(有物有則)인데 물(物)은 형기(形氣)이고 칙(則)은 이(理)이다라는 말이 있는고 초본권(草本卷)에 보면 유물유칙(有物有則)에서 인형(人形)은 물(物)이고 인성(人性)은 칙(則)이라고 하였다. 형기(形氣)와 인형(人形)은 상(象)이 되고 이(理)와 인성(人性)은 상(象)이 나타나는 내재적인 이치가 되는 것이다. 이것을 황로학파(黃老學派)의 내경(內景)과 동의보감(東醫保鑑)의 기리형표(氣裏形表)라는 말에 비교하여 말하면 이상상표(理喪象表)라 할 수 있다. 이제마(李濟馬)는 주역(周易)을 유학적(儒學的)으로 해석한 공자(孔子) 이후의 의리학파(義理學派)의 개념과 도교적(道敎的)인 음양오행(陰陽五行)사상을 유학(儒學)적으로 해석한 주돈신, 중용(中庸)의 재물(載物), 복물(覆物), 성물(成物)의 개념과 유학(需學)적 요약정신(要約精神)을 계승하여, 황로학파(黃老學派)의 상수역학적(象數易學的)인 수리적(數理的)인 음양오행(陰陽五行)사상은 받아들이지 않고 취상정신(取象精神)만 받아들여 사심신물(事心身物)의 사상(四象)만으로도 모든 사물과 의학을 설명할 수 있다고 보아 사상의학(四象醫學)을 제시하였고 그 방법으로 형상의학정신(形象醫學精神)을 도입했다고 볼 수 있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주역(周易)의 해석방법(解析方法)에 수리(數理)와 상(象)을 수단으로 하는 상수역학(象數易學)과 괘(卦)의 의미(意味)를 성정(性情)이나 괘덕(卦德)으로 설명하는 의리역학(義理易學)으로 나눌 수 있다. 2. 이제마(李濟馬)의 형상관(形象觀)은 주역(周易)의 유교적(偏敎的) 해석의 도입과정에서 중용(中庸)에 나타난 요약 정신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사상학적(四象學的) 인식체계라 할 수 있다. 3. 주역(周易)은 천(天), 지(地), 인(人) 삼재(三才)에 음양(險陽)을 배경으로 하여 상(象)과 수(數)로써 사물을 설명하고 있는데 이제마(李濟馬)의 형상관(形象觀)은 천(天), 지(地), 지(知), 행(行)의 사재(四才)에 사상적(四象的) 요약정신인 사심신물(四心身物)의 배경을 통하여 수(數)보다는 상(象)을 이용하여 사물을 인식하고 있다. 4. 사상의학(四象醫學)에서 사상변증(四象辯證)의 방법에는 음양론(陰陽論)이나 대대적(待對的)인 설명보다는 사상적(四象的) 요약정신의 형상관(形象觀)으로 설명되고 있는데 이는 인체를 구조(構造)와 기능(機能)을 동시에 설명하는 방법이다.

View of Lee Je-ma's "Hyung Sang" is one of the methods of classification of Constitution. In this study, I studied the "Hyung Sang" as medical histologically, and get the results as follow; 1. "The book of changes" is classified to the sciences of divination of "Sang-Soo", which is consisted with "Sang (image)" and "Soo (number)", and "Wae-Ri", which explained the meaning of a divination sign as "nature" or virtue of divination sign. 2. Lee Je-ma is accepted the concepts of science of divination of "Wae-Ri" based on Confucianism in the discription of "The book of changes". And also he established the new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heory based on the "Joung-Young". 3. "The book of changes" is discribed phenomena as "Sang" and "Soo" involving "Three elements", which are heaven, earth, and individual, and "Yin-Yang". Lee Je-ma accepted the concept of "Sang" in science of divination of "Sang-Soo" and established the "Four elements", which are affairs, mind, body, and objects, constituting "Three elements". 4. In the method of "Sasang" type classifying, Lee Je-ma used "Four elements", which attach importance to structure and function of human body rather than "Yin-Yang", which explain relatively.

키워드

참고문헌

  1. 주역철학사 康學偉(외)
  2. 중국철학 周桂維
  3. 주역의 이해 곽신환
  4. 왕부지의 주역철학 金珍根
  5. 格致藁 朴奭彦(譯)
  6. 四象醫學 宋一炳(외)
  7. 四象醫學會誌 v.3 no.1 哲學의 學問的 背景과 四象醫學 成立에 대한 고찰 宋一炳;李濟馬
  8. 黃帝內徑譯解 揚維傑
  9. 朝醫學 沿邊朝鮮族自治州民族醫藥硏究會
  10. 四象醫學原論 李乙浩;洪淳用
  11. 東醫壽世保元 李濟馬
  12. 格致藁 李濟馬
  13. 中庸
  14. 주역 유가의 사상인가 도가의 사상인가 陳鼓應
  15. 주역의 현대적 조명 한국주역학회
  16. 東醫寶鑑 許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