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 치아 재식후 나타나는 치주조직의 치유와 치근흡수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MORPHOLOGICAL STUDY ON PERIODONTAL REGENERATION AND ROOT RESORPTION FOLLOWING TOOTH REIMPLANTATION IN RATS

  • 발행 : 1999.04.06

초록

치근흡수 연구에서 치아재식을 위한 적당한 동물모델을 찾는일은 대단히 중요하다. 본 실험에서는 쥐 대구치의 발치 및 재식을 통해서 치근흡수가 발현되는 모양을 관찰했다. 모두 20마리의 쥐(30일생)에게 0.4% ${\beta}$-APN(aminoproprionitrile)가 포함된 분말용쥐사료를 5일간 먹인후 케타민 마취후 상악좌우측 제일대구치를 손상을 최소화하여 발치 하였다. 발거된 쥐치아는 0.02M Tris-HCl로 표면처리하여 부착치근막을 제거한후 파라핀팍스로 치근단을 밀폐 하여 재식하였다. 재식후 1, 2, 4, 6, 8 및 12일이 경과된 후 심장관혈을 통하여 쥐를 희생시킨후 3% glutaraldehyde가 포함된 EDTA에서 탈회한후 Epon 포매 하였다. 모든 시편은 유리칼을 사용하여 1미크론 두께로 절편한후 veronal acetate buffer에 녹인 1% toluidine blue로 염색하였다. 파치세포양 세포에 의한 치근흡수는 재식 5-7일후 처음 관찰되었다. 재식 12일후에는 치근 전체에 걸친 광범위한 치근흡수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 ${\beta}$-APN을 포함한 쥐사료 식이요법은 쥐 상악제일대구치의 발치와 재식을 용이하게 하여 일정한 치근흡수를 발현시키는데 많은 도움이 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