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른 목초(牧草) 잎으로 부터의 무기물(無機物) 용출(溶出)

Mineral Leaching from Air-Dried Forages

  • Kim, S.D. (Division of Life Resources, Joongbu University) ;
  • YOSHIDA, Shigekata (Univ. Farm, School of Agriculture, Nagoya University)
  • 발행 : 1999.09.30

초록

초지생태계(草地生態系)에 있어서의 칼륨 동태(動態)에 관한 연구의 한 부분으로, 목초(牧草)인 오차드그라스(Dactylis glomerata L.)를 말린 뒤 일년의 실험기간중 각각 한 달씩 채초지(採草地) 위에 놓아둔 뒤, 그 목초로부터 토양에로의 용출(溶出)을 조사하기 위하여 거두어 들인 목초중의 칼륨(K), 마그네슘(Mg), 칼슘(Ca), 질소(N)와 인(P)을 측정하여 계절별(季節別), 또는 무기물(無機物)간의 차이를 조사하였는 데 실험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986년 여름 동안의 목초중 칼륨 함량은 일정하지는 않았지만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고, 마그네슘과 칼슘 함량은 증가했다. 그 원인은 빗물에 대해서 목초의 1가(價) 무기물인 칼륨과 2가(價)인 마그네슘과 칼슘이 용해도(溶解度) 또는 용출(溶出)의 난이도(難易度)에 있어서 서로 다른 반응을 보인 것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2. 목초중 처음에 함유된 인의 양에 대한 남은 양의 비율은 비가 왔던 시기인 (1986년 2월~3월)과 비가 많이 오는 시기인 5월부터 7월의 기간동안 많은 감소를 나타냈다. 목초중의 인은 물에 의해 쉽게 용출되는 것으로 보였다. 3. 칼슘, 질소, 마그네슘과 칼륨의 4가지 무기물의 전체 함량에 대한 남은 양의 비율은 (1986년 6월~7월)의 시기에 가장 작았다. 4. 마그네슘과 질소의 전체 함량에 대한 남은 양의 비율이 아주 비슷하게 변하기는 했지만, 여름이 오기 전에는 (1월부터 5월까지) 질소의 남은 양 비율이 마그네슘의 남은 양 비율보다 컸고, 그 시기 이후에는 (6월부터 12월까지) 마그네슘의 남은 양 비율이 질소의 남은 양 비율보다 큰 경향이었다. 5. 실험 기간동안 (1986년 5월~6월)의 시기까지는 칼륨과 인의 전체 함량에 대한 남은 양의 비율의 변화가 아주 비슷한 모습이어서 각 무기물의 남은 양의 비율의 순서는 $Ca>N{\geq}Mg>P=K$이었다. 그러나 (6월~7월) 시기부터는 인의 남은 양의 비율이 증가하여 거의 질소의 남은 양의 비율과 비슷하게 되어서 각 무기물의 남은 양의 비율은 $Ca>Mg{\geq}N{\geq}P>K$이었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know the behavior of mineral nutrients from forage plant to soil in a grassland ecosystem, the leaching of minerals (K, Mg, Ca, N and P) from air-dried (dead) plant body was investigated by putting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hay on meadow during a month with seasonal change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K content of the forage, not stable during the experimental seasons, tended to decrease in the summer of 1986, while the Mg and Ca contents increased in the summer. The reason might be a different response (solubility or leaching liability) of the monovalent mineral (K) and divalent ones (Mg and Ca) in the forage to rainfall. 2) The percentage of P to the initial amount in the forage showed larger decrease in a rainy period (Feb.~Mar., 1986) and during the rainy summer (May to July). The P component of the forage might be easily leached with water. 3) The percentage of the four minerals (Ca, N, Mg, K) remained the least in the period of (Jun.~Jul., 1986), 4) Though the percentage of remained Mg and N of the forage varied very similarly, the percentage of remained N was higher than that of Mg during periods before summer (January to May), while after the period the ratio of the Mg seeme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N (June to December), 5) During the periods until (May~Jun., 1986) the percentage of remained K and P of the forage varied in very similar pattern, and the order of remained mineral was as follows; $Ca>N{\geq}Mg>P=K$. But from the period of (Jun-Jul) the ratio of P remained in the forage increased nearly up to the ratio of N, and the order was as follows; $Ca>Mg{\geq}N{\geq}P>K$.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