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Puretone Threshold Using Periodic Health Examination Data on Noise-exposed Workers in Korea

소음 특수건강진단 자료를 이용한 순음청력검사 평가

  • Kim, Yang-Ho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KISCO) ;
  • Choi, Jung-Keun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KISCO) ;
  • Park, Jung-Sun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KISCO) ;
  • Moon, Young-Han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KISCO) ;
  • Kim, Kyoo-Sang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KISCO)
  • 김양호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 최정근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 박정선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 문영한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 김규상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Published : 1999.03.01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hearing impairment judgement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various diagnostic criteria for noise-induced hearing loss (NIHL) among workers who required for close observation (C). Methods. Out of 731,029 workers who had taken the specific periodic health examination in 1994, we used the audiometric data on 37,999 workers (C) eliminating the employees who had previous otologic problems. Many investigators have being using different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hearing impairment. In this study, we used the criteria of early (1989-1994), current, compensation for NIHL in Korea, 2-, 3-, 4-divided classification and hearing loss at 4,000 Hz and compared the evaluation results. Results. The prevalences of C and workers who had occupational disease $(D_1)$ diagnosed for NIHL were 11.1 % and 0.44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valences of C and $D_1$, depending on different province of Korea. Pure tone averages (PTAs) were not appropriately applied in their evaluation 97% of workers whom we studied on were below the level of mild hearing loss judged by ISO standard. However, there were wide variations in the prevalence rate of mild hearing loss by diagnostic criteria. Thus, there were different judgements in determining the degree of NIHL depending on which diagnostic criteria were utilized. PTAs were found 20.54 (Rt) and 20.74 (Lt) when the method of 3-divided classification was applied for audiometric data. The degree of hearing impairment of the left ear was more severe than that of right ear. The prevalence of normal hearing threshold below 20 dB was 75.4% and the range of difference in both ear was below 10 dB. Right sided hearing threshold levels were 21.08 dB (500 Hz), 18.44 dB (1,000 Hz), 22.09 (2,000 Hz) and 52.36 dB (4,000 Hz). There was typical high frequency loss (C5-dip at 4,000 Hz) above 30 - 40 dB in normal hearing level. The increasing trend in hearing threshold level was gradually decreased by the increase of PTAs. The difference between PTAs and threshold at 4,000 Hz was about 10 dB. Conclusions. We could found that PTAs in the previous examination were not appropriately evaluated. This study revealed that they did not use unique criteria for managing the workers of NIHL. For the prevention of NIHL,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control on diagnosis and comprehensive management program were required, especially for those of hearing loss (C).

이 연구는 특수건강진단기관의 소음성 난청 진단결과의 유소견자$(D_1)$와 요관찰자(C)를 하나의 평가 지표로 설정하여, 첫째 소음 특수건강진단 결과 소음성 난청의 실태 파악, 둘째 소음성 난청 요관찰 자의 청력장애 평가, 셋째 정력장애 정도 에 따른 각 주파수 영역별 기도순음청력 검사 결과를 통해 청력손실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의 판정기준에 따른 진단의 적정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1. 1994년 l월부터 12월까지의 73개 특수건강진단기관의 특수건강진단 실시 사업장은 27,347개이며 이중 소음 특수 건강진단 설시 사업장은 16,388개(59.9%)이었으며, 전체 특수건강진단 수진 근로자는 731,029명이며 이중 소음 특수 건강진단 수진 근로자는 343,457명 (47.0%)이었다. 소음성 난청 요관찰자는 38,058명, 소음성 난청 유소견자는 1,358 명으로 소음성 난청 요관찰률은 11.1%, 유소견율은 0.44%이었다. 지역에 따라 소음성 난청 요관찰률의 차이를 보여주며 판정기준의 적용에 따른 기도순음 청력평균손실치가 일부 적정하게 판단되지 못하였음을 보여 주었다. 2. ISO 기준의 3분법에 의한 청력 평가시 97%가 경도난청 이하였으며, 회화음 역에서의 4분법에 비해 거의 비슷하였으나 약간 정상역이 많았고, 고음역을 포함하여 평가하는 4분법과 6분법의 적용시 정상자의 경도난청으로의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어 청력평가시 평가방법의 적용에 따라 내재적인 판별능의 차이를 보여준다고 볼 수 있다. 3. 우측귀의 청력역치를 ISO 기준에 의해 평가한 후 양귀의 청력역치의 분포 및 차이를 보면, 우측귀의 평균역치(표준편차)가 20.54(9.56) dB, 좌측귀의 평균역치가 20.54(9.57) dB로 좌측귀의 평균역치가 우측보다 높았다. 양귀의 청력이 75.4%에서 정상역이었으며, 21,562명 (90.6%)의 양귀 청력역치 차이의 범위가 10dB이내였다. 4. 소음성 난청 요관찰자의 회화음역에 속하는 500, 1,000 및 2,000 Hz에서의 기도청력역치를 산술평균으로 하여 구하는 3분법의 청력손실도(표준편차)를 주파수 별로 보면, 우측귀에서 500 Hz 21.08(10.23), 1,000 Hz 18.44(10.01), 2,000 Hz 22.09(13.46), 4,000 Hz 52.36(16.38) dB이었다. 평균청력손실도를 10 dB 간격으로 구분한 후 각각의 주파수별 청력역치를 살펴보면, 정상역인 20 dB미만에서 고음역인 4,000 Hz에서 회화음역인 500, 1,000 및 2,000 Hz에서 보다 평균 30-40 dB 이상의 역치를 보이는 $C_5-dip$ 현상을 특징적으로 보였다. 평균정력손질이 증가함에 따라 4,000 Hz에서의 역치 증가 현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다 평균청력손실이 50 dB 이상에서는 10dB 내외의 차이만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소음성 난청 요관찰자에 대한 분석에서 소음성 난청의 평가방법 에 따른 실태와 의미, 소음에 의한 조기청력손실의 특정과 소음성 난청의 판정기준에 따른 진단의 적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소음성 난청 요관찰자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을 제언할 수 있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