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ctual sleeping environments in Ondol rooms depending on the season.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on five healthy women. The bedroom environments using Ondol were measured in five cases (three apartments and two houses). The environments in bedroom, bedding temperature, skin temperature and thermal sensation were measured continuously through the seven days for each season in real life. This data of sleeping environments were analyzed in the view of seasonal variations and housing types. Annual average bedroom temperatures: $26.2{\sim}31.0^{\circ}C$ in apartments, $15.7{\sim}33.6^{\circ}C$ in houses. Annual average bedroom humidity: 48.3~82.1% RH in apartments, 64.9~87.0% RH in houses. During sleeping, temperatures of contact surfaces like sheets and under quilts ranged between $30.5^{\circ}C$ and $34.1^{\circ}C$ regardless of season or housing type. Annual average rectal temperature was $36.8^{\circ}C$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ason or housing type. In the point of thermal sensation, neutral temperature of the bedroom was $25.9^{\circ}C$ in apartments and $20.3^{\circ}C$ in houses. It was concluded that in spite of thermal environmental variations according to the seasons, skin, bedding and bedroom temperatures in apartments were better and more stable than those of houses. It is regarded that while houses are brick structured, apartments are steel-frame structured. Due to better insulation and air tightness, apartments were affected less from outdoor temperature and maintained higher room temperature than houses.
한국의 청실양식은 84.9%가 요와 이불을 사용하여 온돌의 방바닥에 누워 자는 형식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온돌 난방 주택에서의 수연환경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온돌침실의 온열환경, 침상기후, 수면시 생리반응을 각 가정의 일상생활 중에서 직접 측정하여 계절별, 주택형태별에 따른 수면환경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계절 및 주택형태별에 따른 수면환경의 큰 온도차이에도 불구하고 수면 중 인체와 접촉하는 이불 밑과 요 시트의 침상온도는 계절과 주택형태에 관계없이 연평균 $30.5{\sim}34.1^{\circ}C$로 쾌적한 침상 내 온도를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수면 중 직장온도도 연평균 $36.8^{\circ}C$로 계절 및 주택형태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침실환경에 대한 주관적 온열감각은 주택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침실의 온열 중성점이 아파트 $25.9^{\circ}C$, 단독주택 $20.3^{\circ}C$로 아파트가 단독주택보다 $5.6^{\circ}C$ 높게 나타났다. 이는 건물의 구조가 주택은 조적조의 구조인 반면 아파트는 철근콘크리트의 구조로 우수한 단열력을 가지므로 외기온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 높은 실내온도를 유지하였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거주자들이 주택 내 환경에 적응되어진 결과라고도 할 수 있겠으나 아파트 거주자의 측면에서는 온열환경에 대한 에너지 절약, 건강 유지 등의 관점에서 보다 효율적인 난방을 위한 쾌적한 생활온도 설정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