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igation on the Cause of Bad Natural Seed Collection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ditions of Mother Shell and the Viability of the Released Eggs and Larvae Based on the Pathological and Embryological Survey

참굴 채묘 부진 원인 구명에 관한 연구 -병리 발생학적 조사를 통한 참굴 모패의 건강도와 난 및 유생의 생존율과의 상관관계 구명 -

  • PARK Mi Seon (Aquaculture Divisio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LYU Ho Young (Biotchnology Divisio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LEE Tae Seek (Sanitation and Processing Research Divisio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박미선 (국립수산진흥원 양식개발과) ;
  • 류호영 (국립수산진흥원 생물공학과) ;
  • 이태식 (국립수산진흥원 위생가공연구실)
  • Published : 1999.01.01

Abstract

Infection rates of oyster ovarian parasite, Marteiliodes chungmuensis and productivity of the oyster shellstock infected with the parasite were investigated at the main seed collection area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here the extreme bad seed collection of oyster occurred in 1992 and 1993 to evaluate the cause of the bad seed collection. Additionally, the bacterial flora of the sea water and oyster lana were examined to identify the shellfish larva pathogenic bacteria like Vibrio sp. and Pseueomonas sp. In August 1992 to September 1993, infection rate of oyster ovarian parasite, M. chungmuensis at Tongyong, Kyongsangnam province, and Yosu, Chollanam province where the bad seed collection occurred, were $11.8\~100\%$ and $14.3\~100\%$, respectively. But the parasite was not detected in the shellstock collected at Daechon, Chungchongnam province. While a virus-like particle was identified in the cytoplasm of the egg infected by the parasite. The parasite infected egg was not able to fertilize completely. Uninfected egg in the gonad contaminated by the parasite could be able to fertilize but showed an abnormal development till D-shaped larva and then, died of necrosis after D-shaped lana. And some lana developed from low lipid content egg could not develop to the spat and died after the early umbo stage. The predominant bacteria in the oyster lana collected at bad seed collection areas were Pseudomonas sp. and Pseudomonas like bacteria and the occupancy rates were $53.3\~87.1\%$.

1992, 1993년에 경남 통영, 거제 및 전남 여수 등 남해안 주요 굴 채묘 어장에서 참굴, Crassostrea gigas의 극심한 채묘 부진 현상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원인 구명의 일환으로 각 시험 어장 서식 모패 중의 난소기생충 감염율을 조사하고 감염난 및 비감염난에 대한 발생 비교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모패 중 난의 건강도 판정 및 발생 가능성 추정을 위하여 난 지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각 채묘 부진 해역에서 채집한 굴 유생 중의 세균의 오염정도와 오염균의 세균상 등을 조사하였다. 1992년 8월에서 1993년 9월 사이 경남 통영 저산, 거제 오수 및 전남 여수 경도, 굴전 지역 굴 암컷 모패의 난소기생충, Marteiliodes chungmuensis 감염 율은 각각 $11.8\~100\%,\;14.3\~100\%,\;$15.4\~93.3\%,\;12.5\~91.7\%$였으나, 충남 대천의 자연산 굴 암컷 모패에서는 난소기생충이 검출되지 않았다. 한편, 난소기생충에 감염된 난의 세포질 내에서는 직경 78$\~$80nm의 바이러스성 입자 (virus-like particle)가 관찰되었다. 난소기생충에 감염된 난을 사용한 인공 발생 실험에서 기생충에 감염된 난은 수정이 불가능하였으며, 동일 생식소에 감염난과 함께 있었던 정상난도 수정은 가능하였으나, $80\%$ 이상이 형태적으로 비정상적인 발생을 하였고, 정상적으로 발생하여 D형 및 초기각정기까지 도달한 유생도 외부 각부터 녹기 시작하여 연체부까지 파괴되는 세포 괴사 현상을 나타내며 전량 폐사하였다. 채묘 부진 현상이 발생한 통영 저산 양식산 참굴의 난지질 함량은 3.8ng/egg이었으나, 충남 대천 자연산의 난지질은 6.2ng/egg였다. 한편, 발생 전 낮은 난 지질 함량을 나타내었던 통영 저산 산의 난은 정상적인 수정, 발생 단계를 거쳐 수정 7일째 초기각정기까지는 발달하였으나, 이후 발생이 진전되지 못한 채 수정 10일째 전량 폐사하였다. 각 시험어장에서 채취한 참굴 유생의 단위개체당 생균수는 거제 오수가 8,100으로 가장 높았고, 통영 저산이 98, 여수 굴전이 5.5로 나타났다. 각 시험어장에서 채수한 해수 중의 생균수는 여수 굴전이 14,000/ml으로 가장 높았으며, 거제 오수와 통영 저산이 각각 370, 260/ml으로 비슷하였다. 채묘 부진 해역에서 채집된 패류 유생 중의 세균상은 Pseudomonas속 및 그 유사세균이 $53.3\~87.1\%$로 절대 우점종을 차지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