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rvicography as a Screening Test for Cervical Cancer

자궁경부암 선별 검사에서 자궁경부 확대 촬영술의 이용

  • Lee, Doo-Jin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Sung-Ho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이두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
  • 이승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 Published : 1999.12.30

Abstract

Background: Uterine cervical cancer is the most common malignant tumor of the women in Korea.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cervicography as a screening test of cervic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Cervicography was taken from 482 women at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t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1, 1998 to October 31, 1999. Of the 482 women, 172 women were exc1uded from the study for various reasons, and 310 women completed the study. Three-hundred and ten women had cervical cytology (Papanicolaou smear), cervicography and colposcopy, and punch biopsy was undertaken if any of the test result was abnormal. Results: The most common age group was 35-39, and 40-44, 45-49 in order and most common reason for having a screening test was regular check for cervical cancer. The mean duration from the last Pap smear was 17.1 months, and 64 women(20.4%) never had any prior screening tests. Of the 310 women, 254 women were categorized as normal or having benign disease such as cervicitis, erosion or metaplasia. Biopsy was taken from 56 patients and the results were 26 chronic cervicitis, 4 mild dysplasia, 6 moderate dysplasia, 2 severe dysplasia, 14 carcinoma in situ and 4 invasive carcinoma. The results of cytology and cervicography were well correlated(p<0.05).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cytology were 86.7% and 76.9%, respectively an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cervicography were 56.7% and 96.2%, respectively. False negative rate of cervicography(43.3%) was much higher than those of cytology(13. 3%) (p<0.05), but false positive rate of cervicography(3.8%) was much lower than that of cytology(23.1%) (p<0.05). Conclusion: It seems inappropriate to use cervicography as a single screening test for cervival cancer, but it may be an effective complementary test for cytology to lower the false negative rate of cytology.

우리 나라 여성암 중에서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있는 자궁경부암의 선별 검사로서 자궁경부 확대 촬영술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1998년 3월 1일부터 1999년 10월 31일 사이에 자궁암 검진 목적으로 자궁경부 확대 촬영을 시행한 482명의 여성 중에서 31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상 환자의 평균 산과력은 임신 4.4회, 분만 2.6회, 유산 1.9회였고 검진의 목적은 정기 검진이 164명으로 가장 많았다. 연령별로는 35-39세 군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40-44세군, 45-49세군의 순이었으며 마지막 세포진 검사와의 검진 간격은 평균 17.1개월이었고 지금까지 한 번도 검사를 받지 않았던 여성은 64명이었다. 310명의 여성 중 정상으로 판단된 254명을 제외한 56명에서 질확대경 조준 하 생검을 시행하였으며 생검 소견은 만성 자궁경부염 26례, 경증 이형증 4례, 중등도 이형증 6례, 중증 이형증 2례, 자궁경부 상피내암 14례 및 침윤암 4례였다. 세포진 검사 결과와 자궁 경부 확대 촬영술의 결과는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세포진 검사 결과가 LSIL 이상일 때를 비정상으로 판정했을 때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86.7% 및 76.9%였고, 양성 예측률과 음성 예측률은 각각 81.3% 및 83.3%였으며 위양성률과 위음성률은 각각 23.1%와 13.3%였다. 자궁 경부 확대 촬영에서 의증(S2) 이상일 때를 비정상으로 판정했을 때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56.7% 및 96.2%였고, 양성 예측률과 음성 예측률은 각각 94.4% 및 65.8%였으며 위양성률과 위음성률은 각각 3.8%와 43.3%였다. 자궁경부 확대 촬영술의 민감도는 세포진 검사에 비해 매우 낮았으나 특이도는 훨씬 높았고 서로 보완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 자궁경부 확대 촬영술에서 위음성률이 높았으나 위양성률은 낮은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자궁 경부 확대 촬영은 단독으로 선별검사에 사용하는 것보다는 세포진 검사와의 상호 보완적인 방법으로 사용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고 세포진 검사의 단점을 보완하는 자궁경부암의 집단 검진 방법으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천마의학 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