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A분석기법을 이용한 한국재래산양육의 판별

Identification of Korean Native Goat Meat using DNA Analysis

  • 상병찬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동물자원학부) ;
  • 이상훈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동물자원학부) ;
  • 류승희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동물자원학부) ;
  • 서길웅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동물자원학부) ;
  • 한성욱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동물자원학부) ;
  • 김선균 (우송정보대학 동물과학과)
  • Sang, B.C. (Division of Animal Science and Resources, College of Agri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S.H. (Division of Animal Science and Resources, College of Agri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Ryoo, S.H. (Division of Animal Science and Resources, College of Agri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Seo, K.W. (Division of Animal Science and Resources, College of Agri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Han, S.W. (Division of Animal Science and Resources, College of Agri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S.K. (Dept. of Animal Science, College of Woosong Information)
  • 발행 : 1999.12.30

초록

재래산양의 유전자원 보존과 유전적 개량을 위하여 재래산양과 수입산양의 genomic DNA의 유전적 다형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재래산양과 수입산양의 유전적 판별 분석은 RAPD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공시품종은 재래산양 30두, 재래산양 교잡종 10두, 수입산양 10두를 이용하였다. 재래 산양육과 수입 산양육의 판별을 위한 시료는 재래 산양육 10두와 수입 산양육 10두를 이용하였다. 이들로부터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래산양, 수입산양 및 재래산양 교잡종으로부터 추출된 genomic DNA는 전기영동에 의해 약 23kb 크기의 DNA을 얻을 수 있었으며 UV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흡광도 A 260과 A 280의 비율로 측정한 결과, 그 비율이 1.75~2.10의 범위로 순도는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2. 순수 재래산양의 유전자원의 보존을 위한 재래산양의 유전자 감식여부를 탐색하기 위하여 약 110 여종의 random primer를 이용한 RAPD 기법에 의하여 재래산양, 수입산양 및 교잡종의 다형성을 분석한 결과 random primer OPO-19(5'-CAA ACG TCG G-3')를 이용하였을 때 재래산양에서만 396bp에서 band가 나타났으며 수입산양과 교잡종에서는 band가 나타나지 않았다. 3. 또한, 재래 산양육과 수입 산양육의 유전적인 차이를 구명하기 위하니 RAPD 기법에 의한 genomic DNA의 다형성 분석에 있어서도 random primer OPO-19(5'-CAA ACG TCG G-3')를 사용하였을 때 396bp에서 재래 산양육에서는 band가 나타났지만, 수입 산양육에서는 band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genetic polymorphisms of genomic DNA of blood and meat for conservation of the genetic resources and genetic improvement of Korean Native goat. The genetic identification between Korean Native goat and imported goat was examined using RAPD(random amplified polymorphisms DNAs) analysis with 30 Korean Native goat, 10 hybrid, 10 imported goat. 10 Korean native goat meat and 10 imported goat mea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Genomic DNA from Korean native goat, hybrid and imported goat could be obtained above about 23kb size using 0.5% agarose gel electrophoresis and the ratio of optical density at 260nm to that at 280nm was between 1.7 and 2.0 using UV spectrophtometer instrument. 2. In the results of the gene identification between Korean Native goat and hybrid, and imported goat using RAPD methods with random primer of 110 kinds, only Korean native goat showed a specific band at about 369bp using a random primer OPO-19 (5'-CAA ACG TCG G-3'), but imported goat and hybrid not showed. 3. Also, in the results of the gene identification between Korean Native goat meat and imported goat meat using RAPD methods with random primer, Korean native goat only showed a specific band at about 369bp using a random primer No. 19(5'-CAA ACG TCG G-3'), but imported goat not showed.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과학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