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ole of Meniscal Arrow in the Treatment of the Meniscal Tear

반월상 연골 파열의 치료에서 meniscal arrow의 역할

  • Bae, Dae Kyung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Yim, Chang Moo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Jeong, Ki Woong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배대경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임창무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정기웅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1999.06.01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linical results after meniscal repair using meniscal arrow.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May 1997 and Aug 1998, we repaired 22 tom menisci in 22 patients using meniscal arrows. There were nineteen males and three females with an average age of 27 years. There were longitudinal tear in 14 cases, Bucket-handle tear were 7 cases and horizontal tear was in 1 case. In 22 meniscus tears, 16 cases were associated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tear. Average number of meniscal arrow that was used were 2.5(ranged 1 to 4). Average follow-up period was 14.7 months(ranged 6 to 22 months). We evaluated the clinical results by the Tapper and Hoover's grading system. Results : There were excellent in 16 cases, good in 4 cases and fair in 2 cases on the clinical results. At the last follow up, the range of the motion of the knee joint were average 135 degrees(ranged 125 to 140 degrees). Mean time elapsed for meniscal repair were 25 minutes(ranged 15 to 40 minutes). Conclusion : Meniscal arrow has many advantages such as short operative time, easy fixation technique, and less neurovascular injury. We think that arthroscopic meniscal repair using meniscal arrow is effective treatment method in selected patient who have longitudinal, bucket-handle tear at the posterior hom associated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tear.

목적 : 본 논문의 목적은 반월상 연골 파열의 치료에서 meniscal arrow의 역할을 분석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5월부터 1998년 8월까지 반월상 연골이 파열되어 meniscal arrow를 사용하여 봉합한 22명 22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14.7개월(7~22개월)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7세(18~51세)였다. 성별은 남자 19명, 여자 3명이었고 우측이 12례, 좌측이 10례였다. 동반손상은 전방십자인대 파열이 16례, 내측 측부인대 손상이 1례였으며, 파열위치는 후각부가 19례, 중앙부가 3례였다. 연골판의 파열 형태는 종파열이 14례, bucket handle형 파열이 7례, 수평 파열은 1례였고, 환자 1례당 봉합을 위하여 사용된 meniscal arrow는 평균 2.5개(1-4개)였다. 임상적 결과의 판정은 Tapper와 Hoover의 분류를 기준으로 하였고, 술 후 운동범위를 측정하였으며, 동통, 잠김, 불안정 등의 주관적 증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수술시 연골 봉합술에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 임상적 결과는 우수가 16례, 양호가 4례 그리고 보통이 2례 였다. 최종 추시시 운동 범위는 평균 135도(120~140도)였으며 1례를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동통, 잠김, 불안정 등을 호소한 례는 없었다. 수술시 연골의 봉합술에 소요된 시간은 평균 25분(15-40분)이었다. 22례 중 이차 관절경을 시행한 환자 3례 모두에서 파열 부위는 완전 치유되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 Meniscal arrow는 반월상 연골 파열에 대하여 동반손상이나 파열부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