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 슬관절염에서 미세천공술 후 이차 관절경 소견

Second look arthroscopic findings after microfracture surgery in osteoarthritic knee

  • 배대경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진문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이정희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박용구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Bae, Dae Kyung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Kim, Jin Moo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Lee, Jeong Heui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Park, Yong Koo (Department of Patholog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발행 : 1999.12.30

초록

목 적 : 미세천공술을 이용하여 중등도 이하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전층 관절연골 결손에 대한 치료 후 이차 관절경술을 시행하여 육안적 소견 및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 생검 조직에 대한 현미경 및 면역조직화학적 소견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10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퇴행성 슬관절염으로 관절경을 이용하여 미세천공술로 치료한 46명 48예 중 술 후 6개월에 이차 관절경술을 시행한 22명 2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22명중 남자가 3명, 여자가 19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58세(40-75세)였다. 추시기간은 평균 12개월(7-20개월)이었다. 최종 추시시 임상적 평가는 Baumgaertner의 슬관절 기능 평가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이차 관절경술시 재생된 범위를 측정하고 생검을 실시하였다. 또한 제 2형 교원질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여 교원질의 발현을 동시에 관찰하였다. 결 과 : 임상적 결과는 우수가 20예(83%), 양호가 4예(17%)로 대부분 의미 있는 호전을 보였다. 술 후 6개월에 시행한 이차 관절경 소견상 일차수술시 발견되었던 연골 결손부위의 재생 정도는 90% 이상이 17예(71%), 80~89%가 4예(17%), 50~79%가 2예(8%), 50% 미만이 1예(4%)로 회백색의 재생 연골로 덮여 있었다. 조직검사에서 재생된 연골은 초자연골과 섬유연골의 혼합형이었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에서는 전례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제 2형 교원질이 염색되어 나타났으며 염색이 되지 않는 경우는 없었다. 결 론 :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 환자의 전층 연골 결손 치료로 관절경을 이용한 미세천공술은 동통의 현저한 감소를 보였고, 이차 관절경술을 통하여 연골의 재생(chondral resurfacing)을 육안 및 조직학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조직학적으로는 초자연골과 섬유연골의 혼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면역조직화학 검사에서도 정상 관절의 초자연골에 존재하는 제 2형 교원질이 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전례에서 관찰되었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histological results of the osteoarthritic patients who had second look arthroscopy after microfracture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 From Oct. 1997 to Dec. 1998, 46 patients, 48 knees were treated by microfracture technique. In the 22 patients, 24 knees, 'second-look' arthroscopies and biopsies were performed at 6 months following microfracture. Three patients were men and 19 patients were women.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ere 58 years (range, 40-75 years).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12 months(7-20 months). We analysed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the nine-point scale. Also we observed type II collagen formation with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Results : Clinical results were excellent in 83% and good in 17%. Among the 24 knees, more than 80% areas of chondral defect were covered with regenerated cartilage in 21 knees. Histologically, the regenerated tissue appears to be a hybrid of hyaline cartilage and fibrocartilage. Regenerated cartilage contains variable amount of type II collagen with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Conclusion : Most of the patients had significant improvement clinically. 'Second-look' showed that the chondral defect areas were covered with newly grown grayish white tissue. Microfracture in the full thickness chondral defect provides and enriched environment for cartilaginous tissue regeneration.

키워드